유한일 기자 입력 : 2022.03.11 07:42 ㅣ 수정 : 2022.03.11 08:53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최근 연 10% 수준의 금리를 제공하는 ‘청년희망적금’이 돌풍 일으키며 서민·청년 정책 상품에 대한 금융소비자들의 주목도가 커지고 있다. 차기 정부 역시 청년 자산 증식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유사한 정책 상품 출시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주로 시중은행들의 앞마당이었던 정책 상품 시장이 커질 경우 인터넷전문은행(인뱅) 업계 역시 눈독을 들일 것으로 전망된다. 상품 구조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 금융당국과의 관계 등 득과 실을 따지며 앞으로 참여 여부를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1일부터 신청을 받기 시작한 청년희망적금에는 지난 4일까지 약 290만명의 가입자가 몰렸다. 당초 금융당국이 예상한 38만명 보다 8배 가까이 많은 규모다.
연 10% 수준의 고금리 제공이 청년희망적금 돌풍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별로 제공하는 연 5~6%대 기본금리에 더해 정부의 이자 소득 비과세와 저축 장려금 혜택까지 더할 경우 최고 연 10%에 육박하는 금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연 3%대 수준인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와 비교하면 파격적이다.
다만 이번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시중은행들의 무대였다. 참여 은행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등 11개 시중은행으로 결정됐기 때문이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등 인뱅 3사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인뱅 업계 말을 종합해 보면 이번에 청년희망적금에 참여하지 않은 건 인프라 구축 미비에 따른 것이다. 인뱅은 대면 창구 없이 인터넷·모바일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만큼, 서류 접수나 검토 등의 업무에 일부 제한이 있었단 설명이다.
인뱅 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과 청년희망적금 참여 의사에 대한 의견이 오고 갔다”며 “다만 신청 조건이 까다롭고, 신청에 필요한 소득 수준·병역 증명 등에 대한 진위 여부를 비대면으로 파악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젊은 고객층을 중심으로 몸집을 키운 인뱅은 상대적으로 청년희망적금에 대한 매력도가 낮았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시중은행들은 우대금리와 각종 경품 등을 내세우며 청년희망적금 고객 모시기에 나섰는데, 이는 MZ(밀레니얼+Z) 세대 고객 확보 전략으로 보인다. 반면 인뱅은 이미 고객층 절반 이상이 20·30인 만큼 MZ 세대 확보가 간절한 상황까진 아니라는 설명이다.
다만 청년희망적금 돌풍을 계기로 앞으로 정책 상품 출시가 확대되면 인뱅 업계도 참여 여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차기 정부 출범에 따라 금융 정책에 변화가 찾아올 경우 다양한 정책 상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당장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는 청년희망적금과 성격이 비슷한 ‘청년도약계좌’ 도입을 공약했다. 또 청년희망적금 돌풍을 지켜본 정치권이 청년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정책 상품 출시 압박을 높일 수도 있다.
일단 인뱅 업계도 정책 상품 출시 및 시장 확대가 진행될 경우 참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겠단 계획이다. 정부 주도 금융 정책에 대해 무작정 참여를 미룰 수 없는 데다, 시장 소외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인뱅 업계 한 관계자는 “당장 무조건적으로 (참여) 한다고 말은 못하지만, 가능한 부분에 한해서는 참여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며 “사실 정부(금융당국)가 진행하는 정책 상품이라면 사회 분위기상도 그렇고 적극적으로 해야 되는 게 맞다. 인지도·신뢰도 제고 효과도 있어 참여 의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주요 시중은행 대비 규모가 작은 인뱅 업계 입장에선 고금리 수신상품 취급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 인프라 구축 비용 발생 등 여건상 고려해야 될 부분이 남아있다.
다른 인뱅 업계 관계자는 “정책 상품의 경우 취지가 좋고, 특히 청년희망적금 성공에 따라 앞으로도 니즈가 계속 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매년 수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는 시중은행에 비해서 아직 인뱅 이익 규모는 작다. 단순히 이자만 더 얹어드리는 것 뿐 아니라 전산까지 구축한다고 하면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