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30504500294

금리인상‧경기침체 등 차주 상환여력 저하…카드사‧저축은행 연체율 관리 '비상등'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태규 기자
입력 : 2023.05.08 07:28 ㅣ 수정 : 2023.05.08 07:28

1분기 5개 카드사 연체율 모두 1% 웃돌아
저축銀 연체율, 2016년 이후 첫 5%대 기록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시 연체율 악화 전망
저축은행 “관리 가능 수준…우려할 상황 아냐”

image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이후 상환 유예 등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던 카드업계와 저축은행업계의 부실 징후가 고개를 들고 있다. 연체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카드사 5곳의 연체율은 모두 1%를 넘어섰다. KB국민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0.92%에서 올해 1분기 1.19%로 0.27%p 올랐다. 같은 기간 △하나카드 0.98%→1.14%(0.16%p 상승) △신한카드 1.04%→1.37%(0.33%p 상승) △우리카드 1.21%→1.35%(0.15%p 상승) △삼성카드 0.86%→1.1%(0.24%p 상승) 등으로 나타났다.

 

카드 연체율은 서민경제의 부실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꼽힌다. 시중은행 대출 한도가 상한에 달했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다중채무자들이 장기카드대출(카드론) 등 대출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카드 연체율의 경우 통상 2%를 위험수준으로 판단한다. 카드업게는 최근 상승세가 가파른 만큼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지난해 금리가 가파르게 오른 데다 경기가 침체되면서 채무자들의 상환 여력이 저하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연체율이 급등할 것이라는 점이다. 

 

카드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의 경우 저신용, 다중채무자가 많이 이용하는데, 금리가 오르면서 차주의 상환여력이 저하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한국 기준금리도 오를 가능성이 커져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연체율의 후행지표로 여겨지는 개인회생‧채무조정 신청 건수가 증가하면서 올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가능성도 크다.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채무조정 신청 차주는 4만4667명이다. 이는 전년 동기 3만2500명과 비교해 43.9%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1분기 3만9734명과 비교하면 15.9% 늘었다. 

 

카드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연체율이 오르고 채무조정 신청이 늘면서 대손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면서 “코로나19 금융지원 정책이 끝나면 상황이 더 악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의 연체율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5.1%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3.41%에서 1.69%p 상승한 수치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대를 기록한 것은 2018년 말 5.05%를 기록한 이후 처음이다.

 

2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 역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비은행 금융기간의 기업대출 연체율(30일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2.24%다. 이는 2016년 1분기 2.44%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기업대출의 경우 경기 변동에 민감하고 거액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아 신용위험이 더욱 크다.

 

다만 저축은행업계는 연체율이 관리 가능한 수준이고,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건전성 관련 규제비율을 모두 크게 상회하고 있어 향후 리스크 발생 시 손실흡수능력은 충분히 확보된 상황”이라며 “과거 연체율 수준을 고러하면 우려할만한 상황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