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부동산부실 본격 사정 신호탄? 헝다그룹 쉬자인 회장 연금이 몰고올 후폭풍
[뉴스투데이=정승원 기자] 중국정부가 한때 아시아 2위 부자에 올랐던 헝다그룹의 쉬자인 회장에 대해 강제조치를 단행했다.
2021년 12월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빠졌다가 최근 회생절차를 밟던 헝다그룹은 28일 “쉬자인 회장이 법률 위반 범죄 혐의로 법에 따라 강제 조치됐다”고 발표했다.
헝다는 이날 밤 홍콩 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유관 부문으로부터 통보받았다”며 이렇게 밝혔다.
홍콩 증권거래소는 이날 헝다와 자회사인 헝다 신에너지차, 헝다 부동산 서비스의 주식 거래를 전격 중단시켰다. 거래소측은 거래 중단의 구체적인 사유를 밝히지 않았지만 쉬자인 회장에 대한 중국정부 당국의 강제조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헝다의 홍콩거래소 주식 거래 중단은 지난해 3월 거래가 중단됐다 17개월 만에 재개된 지 한 달만이다.
중국은 사회 치안과 수사 및 재판의 원활한 진행을 유지하기 위해 피고인, 현행범, 주요 용의자들의 신체 자유를 박탈하거나 제한하는 강제조치를 취하는데, 쉬자인 회장이 강제조치를 당함에 따라 그에 대한 사법처리가 본격화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전날 소식통을 인용해 쉬자인 회장이 모처에 구금돼 경찰의 감시를 받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보도가 나오고 하룻만에 헝다그룹측이 회장에 대한 당국의 강제조치를 홍콩 증권거래소에 알린 것이다.
광둥성 선전시 공안국은 지난 16일 헝다금융재부관리(에버그란데 웰스)의 일부 직원을 체포했다고 밝혔으며 지난 25일에는 헝다의 전직 간부 여러 명이 구금됐다고 현지 매체가 보도한 것도 이같은 관측을 뒷받침하고 있다.
헝다그룹 창업자인 쉬자인 회장에 대한 당국의 이같은 강제조치를 둘러싸고 중국정부가 부동산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각종 부정부패에 대한 단서를 포착하고 대대적인 사정에 착수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쉬자인 회장이 강제조치를 당하면서 헝다그룹은 회생 여부가 불투명해졌다. 헝다그룹은 지난 2021년 12월 첫 디폴트 이후 경영난이 이어지는 가운데 채무 구조조정 역시 쉽게 실타래를 풀지 못해 위기에 봉착해 있었다.
헝다의 총부채는 2조3900억위안에 달하며 6월 말 기준 채무 초과액은 6442억위안에 달한다. 헝다 계열사인 헝다 부동산그룹은 전날 공시를 통해 지난 25일까지 지급할 역내 채권에 대한 원금 및 이자 40억위안을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다음 달 30일 홍콩 법원에서 회사 청산 여부 결정을 위한 심리를 앞두고 있어 자칫 상장폐지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중국정부가 쉬자인 회장에 대한 사법처리에 나선 것이 확실하다면, 헝다의 운명은 둘 중 하나로 귀결될 것으로 보인다. 국유화하거나, 파산이 그 옵션인데 현재 헝다의 부채규모를 고려할 때 국유화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렇다고 파산절차를 밟는다면 중국 부동산 시장에 미칠 파장이 간단치 않을 것이 분명하다. 헝다그룹은 그동안 막대한 빚을 얻어 개발에 나선 것이 확인되면서 헝다에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은 물론, 업계 전체에 도미노 부도 현상이 우려된다.
거대 자산 운용사 중룽국제신탁등 수 많은 금융기관들은 헝다에 천문학적인 돈을 투자한 상태여서 일반투자자들까지 영향권 아래 들어갈 수밖에 없다.
과연 중국정부가 이런 파장까지 감수하고 헝다그룹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에 착수한 것인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지만, 중국 부동산업계가 격랑의 회오리에 휘말릴 것임은 자명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