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글로벌 유동성 리스크가 발생하며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긴축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 금리 인하기에는 한국과 중국, 베트남 등 신흥국 시장을 주목해야 한다는 증권가 관측이 제시됐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21일 보고서를 통해 "최근 은행 위기로 긴축 경계감이 작아졌고, FOMC 회의에서 긴축 속도 조절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시장에서 속도 조절을 주장하는 근거 세 가지를 들었다.
우선 은행 유동성 스트레스가 커졌다는 점인데, 최근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총자산이 은행 대출 프로그램 확대에 따라 양적긴축 구간에서 오히려 증가했다.
두 번째는 최근 나타나고 있는 국제 은행 간의 유동성 위험 조짐이다. 은행 간 자금 조달 위험이 바닥에서 높아진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경기 침체 위험인데, 현재 은행의 대출 태도는 과거 경기 침체 때를 제외하고 가장 경직적이다. 이 같은 세 가지 이유로 금리를 인상하기보다 사태를 관망해야 한다는 주장이 시장에서 나오고 있다.
노 연구원은 "1990년 이후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인상을 쉬었던 FOMC는 최종 금리 인상을 제외하고 총 21번"이라며 "코스피는 해당 FOMC 이후 30일간 평균 및 중간값이 각각 1.3%와 0.6%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1994년 이후 신흥국 통화절하 위기 때를 제외하면 저점 대비 2.5%포인트 내외 올랐는데, 이는 긴축 속도 조절이 유의미한 약달러를 만들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노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상존한 상황에서 섣부른 긴축 종료 기대감은 중장기 관점에서 유효하지 않다"며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은 단기적으로도 대응할 수 있는 변수"라고 분석했다.
그는 금리 인상에 약했던 기업의 특징으로 △신흥국 △중간재 △높은 무역 비중 등을 꼽았는데, 이는 인하 시기에 접어들면 오히려 반대로 작용할 수 있다.
노 연구원은 "중장기 관점에서 한국 증시 비중을 확대할 적기는 경기 개선 국면과 투자 사이클 때"라며 "뉴욕 연준 연구에 따르면 미국이 금리를 1%포인트 인상할 때, 이듬해 기업 설비투자 증가율은 1.3%포인트 하락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신흥국과 중간재, 높은 무역 비중을 가졌을 수록 미국 금리 인상에 부정적이었으며, 한국과 중국, 베트남 등이 대표적"이라며 "마이너스 계수를 고려했을 때, 금리 인하 구간에서 반대로 돋보일 수 있는 국가군"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