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일(현지시간) 배런스에 따르면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팬데믹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오랜 하락세를 이어왔지만 여전히 2% 물가 목표를 향한 명확한 추세는 찾기 어렵다며, 2월 CPI는 부문별 진전과 후퇴를 보여 전반적으로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고 올해 연준 금리 궤적도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고 판단했다.
- 지난 12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아문디 US의 크레이그 스털링 주식리서치 책임자는 향후 몇 분기 간 미 증시의 광범위한 랠리가 구체화해 대형 기술주를 넘어 주가가 오르고 '스톡 피커'가 혜택을 받는다며, 1~3분기에 나머지 시장이 다시 이익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하고 S&P의 동일 가중 버전이 성장주보다 나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 지난 11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페어리드 증권의 케이티 스톡턴 전략가는 가파른 상승 추세를 보인 엔비디아 같은 주식일수록 내재한 위험이 큰 만큼 이익 실현을 위한 매도 원칙(sell discipline)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런 상승 추세 모멘텀이 빨라진 포물선형(parabolic) 종목을 계속 가져갈지 정리할지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 코로나19 현황
2월 1주(4일∼10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6178명(일평균 883명)이었다. 직전 주(5871명)보다 5.2% 늘어났다. 신규 감염자는 지난해 12월 4주 이후 주간 5000명대를 유지하다가 2월 1주에 6000명대로 4주째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가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2.86에서 유래된 또 다른 하위 변이 'JN.1'이 빠르게 확산하며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미국 내 JN.1이 이미 만연해 있자 JN.1을 관심변이로 지정하고 감시를 강화했다.
당국은 지난해 8월 코로나 감염병 등급을 2급에서 4급으로 낮추면서 전수감시를 중단하고 인구 10만명당 1꼴로 지정된 의료기관 527곳서 양성자 발생 수준을 감시한다. 다만 감염에 취약한 고위험 시설 보호를 위해 '경계' 단계는 유지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지나갔으나 롱코비드(Long-Covid·만성 코로나 증후군)라고 불리는 코로나 후유증과의 싸움은 여전하다. 롱코비드 증상만 200여가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주의가 필요하지만 정의는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WHO는 지난해 5월 코로나와 엠폭스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해제하고, 코로나를 계절성 독감 수준으로 관리할 것을 각국에 권고했다. WHO가 소집한 전문가들은 3개월마다 회의를 열어 PHEIC 유지 여부를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