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먹거리 찾아 나서는 보험업계…요양사업‧헬스케어 진출 잰걸음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보험업계가 신규 수요 축소 및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 등으로 성장성 둔화가 전망되면서 요양사업과 헬스케어 등 새 먹거리를 찾아 나서고 있다.
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라이프의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는 최근 서울 종로구 평창동에 위치한 노인복지주택(실버타운) 'KB 평창 카운티' 입주자 모집을 시작했다.
'KB 평창 카운티'는 KB골든라이프케어가 처음으로 선보인 실버타운으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한 6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생활, 가사, 건강, 문화여가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또 1차 의료기관(병의원)을 건물 내에 마련해 편안하고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했다.
KB골든라이프케어는 도심형 프리미엄 요양시설 'KB골든라이프케어 빌리지'도 운영 중이다. 현재 위례, 서초 두 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은평, 강일, 광교 등 3개소를 더 추가할 예정이다.
신한라이프도 올해 초 요양 사업과 관련한 인허가 신고를 마친 상황이다. 신한라이프는 2021년 8월부터 요양서비스사업 TF팀을 마련하고 사업모델을 발굴해 왔다. 이 밖에 미래에셋생명은 최근 금융감독원에 시니어 맞춤형 제휴서비스를 부수업무로 신고해 요양서비스 사업 진출 요건을 마련했고, NH농협생명도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요양서비스사업 TF를 운영하며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
신한라이프는 자회사 신한큐브온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 강화에도 나섰다. 2021년 12월 출범한 신한큐브온은 당초 인공지능(AI) 동작인식 기술과 라이브 서비스를 결합한 홈트레이닝 서비스 '하우핏'을 출시하고 젊은 층을 공략했다. 하지만 지난해 48억원의 적자를 기록한데 이어 올해 상반기 22억원의 적자를 보였다.
신한큐브온은 수익성 제고를 위해 하우핏 서비스를 종료하고 만 60세 이상 노년층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의료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니어 헬스케어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KB손해보험도 자회사 KB헬스케어를 통해 헬스케어 사업 고도화에 나섰다. 지난해 금융사 최초로 보건복지부로부터 '비의료 건강관리서비스' 인증을 획득한 KB헬스케어는 건강관리 플랫폼 'KB오케어'를 기업 간 거래(B2B) 서비스로 KB금융그룹 내 임직원 건강관리를 위해 제공하고 있다. KB손보는 올해 안에 이 서비스를 일반 고객에게도 제공할 계획이다.
보험사들이 이처럼 요양사업과 헬스케어 사업에 나서는 것은 보험업권의 성장 둔화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금융연구원의 '2023년 금융동향과 2024년 전망'에 따르면 국내 보험산업은 저출산‧고령화와 경쟁심화 및 시장포화 등으로 신규 보험가입이 감소할 전망이다. 또 신규 수요 축소 및 고금리 기조 장기화, 금융시장 불확실성 상존 등은 성장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전망에 보험사들이 요양사업, 헬스케어 사업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활성화를 위해서는 넘여야 할 산이 많다.
보험사의 요양사업 진출 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토지와 건물 임차 문제다. 현행 노인복지법 시행규칙은 요양시설 사업자가 10인 이상의 요양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토지‧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를 임차해야 한다. 보험사가 수익을 거둘 수 있을만한 규모의 요양시설을 수도권에 마련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너무 크다.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의 경우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현행 제도상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걸음 수 확인, 소모 열량 확인, 운동방법 안내, 건강검진 예약, 영양제 추천 등에 불과해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공공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제도 및 인프라 개선,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지목된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요양사업 진출을 위해서는 토지 매입과 건축 등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다"면서 "자본이 탄탄한 대형사도 쉽지 않을 텐데, 중소형사는 더욱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보험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토지와 건물을 소유하도록 한 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보험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에서 현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수준은 스마트워치에서 제공하는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공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등 규제 완화가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