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30106500228

부동산금융 리스크에 가계대출 연체율도 올라…저축은행 건전성 '경고등'

글자확대 글자축소
김태규 기자
입력 : 2023.01.09 07:23 ㅣ 수정 : 2023.01.09 07:23

저축은행 가계대출 연체율 2021년 2.1%→2022년 상반기 3.1%
신용평점 하위 20% 저신용차주 비중 50.1%, 다중채무자 76%
고금리‧부동산 경기침체에 대손부담 확대…대출 취급 축소‧중단
업계 "수익성 저하 본격화 전망에 자산건전성 대책 마련 시급"

image
서울시내 한 저축은행 영업점 창구 모습.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저축은행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제기된 가운데 저신용 다중채무자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급격히 오르면서 건전성 악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1년말 2.1%에서 지난해 상반기말 3.1%로 1.0%포인트(p) 올랐다.

 

같은 시기 기준 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차주 가운데 다중채무자 비중은 약 76%에 달한다. 또 신용평점 상위 0~50%에 속하는 차주 비중은 5.1%, 50~80%에 속하는 차주는 44.8%로 집계됐다. 특히 하위 20%에 속하는 저신용자 비중은 2021년말 47.3%와 비교해 2.8%p 상승한 50.1%로 나타났다.

 

한국신용평가는 올해 저축은행권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저신용자와 다중채무자가 차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고금리와 고물가, 자산가격 하락 등에 따라 가계 채무부담이 확대되고 있어 저소득 다중채무자 중심으로 부실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가계대출 부실 우려가 확대되는 가운데 브릿지론, 부동산 PF 등 부동산금융 부실 역시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업권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금융 비중은 약 200%로 상당히 높은 상황이다. 부동산금융 내 브릿지론 비중 역시 약 50%로 크다. 또 부동산금융 가운데 비아파트의 비중이 85%를 차지하고, 후분양 비중도 65%로 분양위험이 높고, 낮은 시공사 신용도와 2%로 낮은 신탁사 책임준공 비중을 감안하면 시공위험도 높은 것으로 지적된다.

 

예금보험공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전국 저축은행 79곳의 평균 연체율은 3.0%로 전년 말 2.5%에 비해 0.5%p 상승했다. 연체액은 3조4344억원으로 전분기 2조9772억원과 비교해 4572억원 증가한 것이다.

 

자산 규모별로 살펴보면 자산 3000억원 이하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4.6% △3000억원 초과 1조원 이하 3.1% △1조원 초과 2조원 이하 2.6% △2조원 초과 2.4%로 자산 규모가 작은 곳일수록 리스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대출금리가 법정최고금리인 20%로 제한돼있는 가운데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대출 수요가 감소한 점, 유동성 부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 대출 성장세를 제약하는 요인이 많아 수익성은 저하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금융과 가계대출 등 위험 익스포저(채무불이행 등에 따른 손실 위험에 노출된 금액)를 중심으로 건전성이 떨어져 대손부담이 확대되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곽수연 한신평 연구원은 전일 웹 세미나에서 "지난해 저축은행업은 수익성 하락, 대출성장률 둔화, 자산건전성 저하의 문제가 있었다"면서 "올해는 이 흐름이 본격화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부실대출과 대손 리스크가 제기되면서 지난해 12월부터 저축은행업권은 대출 취급을 줄이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신용대출을 중단했으며 웰컴저축은행은 중금리 대출, 신한저축은행은 햇살론을 중단했다.

 

시중은행이 수신금리를 올리면서 저축은행은 자금을 모으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해야 하는 상황이다. 때문에 햇살론과 같이 수익성이 낮은 정책금융상품 취급을 줄이고 대손비용 부담이 큰 저신용자 대출을 축소하는 것이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시중은행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수신금리를 올려 수신을 늘릴 수밖에 없다"면서 "예대마진 축소, 대출규제 등에 따른 공급 유인 감소 등 수익성 저하가 전망돼 전망이 어두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계 다른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고 자산가격이 하락하는 등 차주들의 상환 능력이 떨어지면서 부실대출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면서 "부동산금융 면에서도 리스크가 이어지는 만큼 건전성 관리는 물론 유동성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업계 전반에서 대출취급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며 "수신금리는 급등하는데 대출금리 상한은 막혀있어 수익성 저하를 방어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