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320500155
JOB리포트

고용정보원의 충격적인 '경제활동인구‧취업자 수 급감' 보고서…2028년부터 사람이 부족하다

글자확대 글자축소
박진영 기자
입력 : 2024.03.20 16:41 ㅣ 수정 : 2024.03.20 16:41

경제활동인구, 2022~2027년 56만명↑‧2028~2033년 25만명↓
고용정보원,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해야"
서비스업 보건‧정보과학 증가…제조‧건설‧판매‧농림어업 감소 전망
2033년까지 필요 인력 90만명…서비스업‧전문가 수요 가장 많아
연령대별‧업종별 차별화된 정책으로 인력 부족 현상 지연 필요
김영중 원장, "기업 구인난 심화를 시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 대응 필요“

image
한국고용정보원이 19일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하고, 오는 2032년까지 우리 노동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전망했다. [사진=박진영 기자]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저출산‧고령화로 경제활동 인구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면서 우리나라 경제를 유지하기 위한 인력 수급에 빨간불이 커졌다.

 

한국고용정보원(원장 김영중, 이하 고용정보원)은 19일 발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보고서을 통해 오는 2032년까지 우리 노동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전망했다. 미래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을 분석해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용정보원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2025년에 65세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2028년에는 노동력 공급 감소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하며, 2027년부터 2032년에 추가 필요인력이 급증하는 등 산업전환과 노동시장의 중대한 구조적 전환기에 직면한 만큼 체계적인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고용정보원은 생산인구 감소에 대응해 청년과 여성, 고령자 등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하고, 경제활동 잠재인력의 업종·직종별 정밀한 수요 예측을 통해 공급 확충‧숙련도 제고 등을 통해 노동생산성을 높여나갈 것을 제언했다.

 

image
중장기 인력수요 전망 그래프. [사진=한국고용정보원]

 

■ 미래 인력 수급, 2027년까지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과거의 10분의 1 수준... 2028년 70세 이상 고령인구 급증 

 

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난 2022년부터 오는 2032년까지 10년간 인력 수급 전망을 살펴보면, 경제활동 인구는 31만6000명 증가하나 과거 10년간 증가 폭의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002년부터 10년간 279만9000명 늘었고, 2012년부터 10년간 314만1000명 증가했다.

 

시기별로는 전망 전기인 2027년까지는 56만4000명 증가하나 전망 후기인 2028년부터 2023년까지는 24만8000명이 공급제약의 영향을 받아 감소할 전망이다. 양적인 축소 뿐 아니라 고령층 비중 확대 등 구성효과로 인해 노동 공급에 제약 여건이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70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2022년 13.2%에서 2032년 21.5%로 증가하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는 서비스업 중심(+66만9000명)의 취업자 증가가 예상되며, ▽제조(-14만5000명) ▽건설(-12만6000명) ▽농림어업(-9만4000명) 등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비스업은 급속한 고령화와 돌봄‧의료수요가 증가하면서 보건복지업(+99만8000명)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통신(+16만6000명)과 전문과학기술업(+7만3000명)은 디지털 전환 영향으로 증가할 전망이고, 도소매업(-40만7000명)은 온라인 중심의 상거래 등 산업 환경 변화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업은 보건수요 증가로 △의약품(+3만5000명) △의료정밀 제조업(+2만6000명) 등에서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제조업(-14만5000명)에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친환경차로 산업전환이 예상되는 자동차 제조업(-4만7000명)과 생산시설 해외 이전이 예상되는 의복‧모피 제조업(-4만명) 등에서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직업별로는 △전문가(+52만2000명) △서비스직(+50만2000명)에서 큰 폭으로 증가하고, ▽판매직(-32만2000명) ▽장치‧기계조작(-18만6000명) ▽기능원(-11만1000명) 등에서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보건‧정보과학 분야 수요가 늘어나 △보건복지(+99만8000명) △정보통신(+16만6000명) △전문과학서비스업(+7만3000명) 등의 직종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고, 비대면 거래 확대 등으로 취업자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판매직은 향후 10년간 가장 큰 폭의 감소가 예상되며, 자동화 영향으로 기능원‧장치기계조작직도 감소할 전망이다.

 

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산업별‧직업별 고용 전망을 종합하면 15세이상 고용률은 2022년 62.1%에서 2032년 61.3%로 0.8%포인트(p) 내려갈 전망이다. 

 

image
상위 10대 취업자 증가 및 감소 산업 중분류 그래프. [사진=한국고용정보원]

 

■ 앞으로 10년간 필요한 인력 90만명…산업별 ‘서비스업’‧직업별 ‘전문가’ 수요 가장 많아

 

고용정보원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향후 10년간 필요한 인력 수요를 예측했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 동안 1.9%에서 2.1%대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추가로 필요한 인력은 오는 2032년까지 89만4000명이라고 내다봤다. 추가로 필요한 인력은 2027년 7만1000명 수준이나, 2028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2032년까지 89만4000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10년간 연평균 8만9000명의 인력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전망 전기인 2027년까지 매년 1만4000명, 후기인 2028년부터 연 16만5000명의 인력이 필요한 셈이다.

 

고용정보원은 향후 10년간 전체 취업자수 전망치의 약 3% 수준의 노동력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추가 필요인력이란 향후 성장 전망치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동공급 제약을 고려한 인력 이외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이다. 노동수요 기반 취업자수는 2929만1000명, 노동공급 제약 고려 취업자수는 2839만8000명이다. 

 

산업별로는 전체 추가 필요인력의 76.6%가 서비스업(+68만5000명)에 속해 있으며, 서비스업은 ▷보건복지(+13만8000명) ▷도소매(+11만8000명) ▷전문과학기술(+8만8000명) 순으로 인력이 필요하다. 인력 감소가 예상되는 △제조업(+13만7000명) △농림어업(+4만5000명) △건설업(+1만8000명) 등에서도 지속적인 인력 수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전문가(+20만2000명) △사무종사자(+15만2000명) 등 고숙련 직업군에서 추가로 인력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어 △단순노무종사자(+12만6000명) △서비스종사자(+11만9000명)의 추가필요 인력 규모도 비교적으로 클 것으로 예측된다.

 

image
상위 10대 취업자 증가 및 감소 산업 소분류 그래프. [사진=한국고용정보원]

 

■ 청년‧여성‧노인 등 대안 인력별로 차별화된 고용 정책 실행해야 노동력 부족 사태 막아

 

고용정보원은 노동력 부족 현상이 가시화될 우려가 크므로 잠재인력의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도록 대상별로 차별화된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발표했다.

 

대상별로 살펴보면 청년이 원하는 유망·신산업 분야 등 취업기회 확대를 위해 △첨단산업 훈련 △일경험 △맞춤형 취업지원 등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여성의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예방을 위해 △육아휴직 확대 △유연근무 활성화 등 일·육아 병행이 가능한 고용환경 구축해야 한다. 또 고령자가 원하는 만큼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임금체계 개편 △계속고용 기반 조성 △직무전환 훈련 등으로 원활한 이·전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업종‧직종별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도 필요하다. △ICT △전문과학 △정보통신 등 기술진보에 따라 인력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의 산업‧직업별 교육‧양성‧훈련 정책이 요구되고, 산업구조 변화로 인력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는 분야의 중‧저숙련 직종 재취업 제고를 위한 업종 전환‧훈련 등 고용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

 

김영중 고용정보원장은 “이번에 추가 필요 인력 규모를 최초로 전망하는 등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공급 제약으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따라 기업 구인난이 심화됨을 시사하고 있는 만큼 우리 사회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