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정부와 배터리업계, ESS용 배터리 사업 육성에 주력해야

남지완 기자 입력 : 2023.05.08 17:06 ㅣ 수정 : 2023.05.08 17:06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뉴스투데이=남지완 기자]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최근 수년 간 생산설비 확대와 실적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어왔다. 다만 이 같은 약진은 전기차 배터리에 치중된 성장으로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용 배터리 사업을 펼치는 중국과 크게 대조를 이룬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산업은 전기차용 배터리와 ESS용 배터리 부문으로 크게 나눠진다.

 

현대차·기아와 테슬라를 비롯해 GM, 포드, 폭스바겐그룹, 스텔란티스 등 많은 자동차 기업이 전기차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어 한국 배터리 업체들이 이들 자동차 기업을 대상으로 대량 수주를 일궈낸 것은 칭찬 받아야 마땅하다.

 

하지만 국내 배터리 기업들이 전기차와 함께 미래 사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ESS 분야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배터리·반도체 리서치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 중국 CATL은 2021년 ESS용 배터리 17GWh, 2022년 53GWh를 공급했다.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은 8GWh, 9GWh를 공급했으며 삼성SDI 역시 8GWh, 9GWh를 각각 공급했다. SK온은 아직까지 ESS용 배터리를 공급한 바 없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이 특히 ESS용 배터리 분야에서 부진한 것에 대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30여건이 넘는 ESS 화재 사건이 발생했다”며 “화재 사건의 후유증으로 국내 배터리 기업의 ESS용 배터리 사업은 저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정부의 배터리 산업 보조금 및 지원 정책은 전기차용 배터리 분야에 편중돼 있다”며 “이에 따라 배터리 기업은 주로 해외 수주를 통해 ESS용 배터리 사업을 추진하고 국내에서는 관련 사업이 거의 진행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여러 신기술이 집약된 제품은 으레 국내에서 수많은 공급 및 테스트를 거친 후 비로소 해외로 수출 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이 같은 절차를 제대로 거치고 있지 않다.

 

이에 정부는 ESS용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부랴부랴  올해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정부는 지난 1월 ‘에너지스토리지 산업정책 TF 출범회의(킥오프 미팅)’을 열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ESS 육성 전략 의견을 모았다. 또한 3월에는 ESS 보급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사업을 추진하고 5월에는 ESS 종합 안전성 평가센터를 착공해 배터리 기업의 ESS 사업을 전격 지원하겠다는 청사진도 마련했다.

 

관련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용 배터리 시장이 오는 2030년 전세계에서 2620억달러(약 345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은 2030년 2994억달러(약 395조원)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두 배터리 시장이 모두 급속하게 확장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 사업구조는 전기차용 배터리에 치중돼 있다.

 

기업은 신속하게 ESS용 배터리 사업에 투자하고 정부는 빠르게 보조금 및 관련 제도를 추진해야 중국 기업과의 격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대규모 ESS 사업을 본격 추진하는 데 주저해서는 안된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