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 비율 올라간 저축은행…OK저축銀. 당국 권고치 근접
5대 저축은행 가운데 4곳 고정이하여신비율 증가
OK저축銀, 7,95%로 당국 권고치 8% '아슬아슬'
중소형 저축은행 4곳 권고치 넘겨…40% 달하기도
금융당국, 공동 검사 중소형 저축은행까지 확대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저축은행업계를 둘러싼 부실 우려가 증가하는 가운데 대형 저축은행도 부실채권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형 저축은행의 경우 부실채권이 40%에 달하는 곳도 있어 건전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20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55개사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전년 대비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총여신 가운데 부실채권 비중을 나타내는 것으로,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로 꼽힌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금융사가 보유한 부실채권 비율이 높은 것이다.
자산규모 상위 5개사를 살펴보면 SBI저축은행은 유일하게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감소했다. SBI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2.69%에서 지난해 말 2.65%로 0.04%포인트(p) 낮아졌다.
반면 나머지 4개사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상승했다. 각 사별로 보면 같은 기간 △OK저축은행 7.16%→7.95%(0.79%p 상승) △한국투자저축은행 2.32%→2.55%(0.23%p 상승) △페퍼저축은행 2.79%→4.71%(1.92%p 상승) △웰컴저축은행 4.93%→6.25%(1.32%p 상승)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을 8% 이하로 권고하고 있는데, OK저축은행의 경우 이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OK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고정이하여신비율 상승은 자산과 여신잔액이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레 발생하는 현상"이라며 "팬데믹 상황을 고려해 그동안 연체차주에 대한 추심을 자제하고 금융당국의 연체채권 외부매각 제한조치를 준수한 점이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OK저축은행은 주기적인 스트레스 테스트 실시 및 모니터링과 부실채권 매각 방식으로 건전성 지표를 관리해나갈 방침"이라며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당국의 기준치 이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는 등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확충해 뒀다"고 강조했다.
실제 지난해 말 기준 OK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액은 1조1401억원으로 업계 최대 수준이다. 같은 시기 요적립액 대비 대손충당금적립비율도 134.15%를 기록해, 업계 평균인 107.9%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중소형 저축은행 중에서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당국 권고치를 크게 상회하는 곳도 있어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원저축은행이다. 대원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38.04%에서 2022년 말 39.19%로 1.15%p 높아졌다.
이 밖에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당국 권고치를 웃도는 저축은행은 △대아저축은행(39.12%→25.62%) △SNT저축은행(9.73%→15.71%) △조흥저축은행(16.06%→12.75%) 등이다. 대아저축은행과 조흥저축은행은 2021년 말과 비교해 비율이 감소했음에도 권고치를 넘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고정이하여신비율 증가 등 저축은행업계 부실 우려와 관련해 자산 2조원 이상 대형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의무검사를 중소형 저축은행 전반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8일 임원 회의에서 금감원과 예금보험공사의 공동 검사와 관련해 리스크에 취약한 저축은행으로 검사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저축은행 부실 리스크의 취약점으로 꼽히는 가운데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하는 만큼 건전성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아울러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유럽 스레디트스위스(CS) 사태 등으로 금융권 불안이 확산되면서 국내 저축은행이 파산한다는 악성 루머가 퍼지는 등 우려가 큰 상황이다.
금감원은 잠재 부실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위험 요인을 점검하는 등 선제 대응하고,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비해 저축은행이 손실 흡수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도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