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앞둔 수협중앙회 노동진號…'금융지주 전환' 등 해결 과제 산적

김태규 기자 입력 : 2023.03.06 07:25 ㅣ 수정 : 2023.03.06 07:25

노동진 수협중앙회장, 27일 임기 시작
금융지주 전환‧어민 지원 등 과제 당면
위탁선거법 위반 혐의 수사도 리스크
'수협중앙회 지방이전' 정치권 압박도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노동진 제26대 수협중앙회장 당선인 [사진=수협중앙회]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수협의 공적자금 상환 이후 첫 중앙회장으로 당선된 노동진 전 진해수협 조합장이 '금융지주 전환' 등 산적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6일 상호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16일 서울 송파구 수협중앙회 본부에서 열린 수협중앙회 제2차 임시총회에서 노 전 조합장이 제26대 수협중앙회장으로 선출됐다.

 

노 당선인은 결선 투표에서 47표를 얻으면서 김덕철 후보를 단 두 표 차이로 앞서 당선됐다.

 

노 당선인은 21·22대 진해수협 조합장, 수협중앙회 비상임이사, 진해수협 비상임이사 등을 지냈으며 현재는 창원시 수산조정위원, 경상남도 해양공간관리지역협의회 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2019년에는 산업포장을 받기도 했다. 노 당선인은 이달 27일 취임하며, 임기는 4년이다.

 

■ 최우선 과제 '금융지주 전환'

 

노 당선인의 취임 이후 가장 중요한 과제로는 수협중앙회의 금융지주 전환이 꼽힌다. 수협중앙회는 2022년 11웡 공적자금 조기상환 기념식에서 금융지주 설립계획을 담은 '수협 미래 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는 △금융사업 지배구조 개편 △어업인‧회원조합 지원 확대 △중앙회 사업 경쟁력 강화 등 세 가지 중점 추진사항이 포함됐다. 

 

당시 수협중앙회는 이를 올해부터 본격 실행에 옮긴다고 설명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투입자본 대비 성장성과 수익성이 높은 자산운용사 등 소형 비은행 금융회사를 인수한다는 것이다.

 

중앙회는 금융지주 인가 요청을 위한 최소한의 자회사 요건을 갖추게 되면 내년 3분기부터 금융지주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금융지주 설립 이후에는 증권, 캐피탈 등 비은행 금융회사를 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해 2030년까지 사업 다각화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지주 전환 외에 인력부족과 수익성 저하라는 어업계의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최근 물가가 상승하면서 사료와 어분 가격이 급등한데다 양식장 유지 비용까지 상승해 어민들의 소득 악화가 심화하고 있다. 또 국내 어민 수가 감소하면서 인력의 상당수를 외국인 노동자가 채웠는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외국인 노동자들이 국내로 들어오지 못하게 돼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이다.

 

노 당선인은 중앙회장 선거에 출마하면서 '어업인이 부자되는 어부(漁富)의 세상'이란 기치를 내걸고 △활력있는 어촌 건설을 위한 어촌계 종합지원체계 구축 △어업인·회원조합 보조금 및 융자금 지원 규모 대폭 확대 △'바다환경보전 특별위원회' 신설을 통한 바다환경 보전 체계적 구축 △세제·제도개선을 통한 어업인 경영부담 완화 등을 추진 등 어민 지원 공약을 내걸었다.

 

노 당선인은 당선 소감을 통해 "공약과 전국을 돌며 조합장들의 건의사항을 받아 적었던 내용을 적극 실행에 옮겨 중앙회의 근본 설립 목적인 조합과 어업인 지원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다만 경찰이 노 당선인과 관련해 위탁선거법 위반로 수사를 진행 중인 점이 리스크로 지목된다. 중부지방해양경찰청은 중앙회장 선거가 치러지기 전인 지난달 6일 노 당선인이 조합장을 지낸 진해수협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

 

노 당선인 측은 지점 개소식, 건물 준공식 등 전국 수협조합이 개최하는 행사에 진해수협에서 화환을 보냈는데, 이를 노 당선인 개인 명의로 보낸 것으로 보고 고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위법 행위를 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 공적자금 완전 상환 남아…'지방이전' 막아낼 수 있을까

 

수협중앙회 본사 이전 역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다. 현재 국회에는 수협중앙회 본사를 부산 또는 전남 지역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수산업협동조합법(수협법) 일부개정법률안 3건이 발의돼 있다.

 

수협중앙회 지방 이전은 윤석열 대통령이 시중은행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급물살을 타고 있다. 윤 대통령은 1월 30일 금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은행은 공공재"라며 은행의 사회적 역할을 주문했다.

 

수협중앙회는 정부와 공적자금 조기 상환에 합의했으나 완전한 상환까지는 5년이 남아 정부가 이전을 압박하면 버티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수협중앙회는 지난해 정부와 2027년까지 잔여 공적자금 7574억원을 국채로 상환하기로 합의했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매년 800억원, 2027년 4374억원의 국채가 만기 도래할 예정이다.

 

하지만 수협중앙회 노조는 지방 이전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보인다. 

 

박홍배 금융노조위원장은 지난달 20일 수협중앙회지부 제35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에서 "대선 과정에서 후보(윤 대통령)이 내뱉은 산업은행 지방 이전이 국정과제가 된 후 그 불똥이 수협중앙회까지 튀고 있다"면서 "금융기관 지방 이전의 결과는 지역 균형발전이 아니라 금융산업 경쟁력 훼손"이라고 성토했다.

 

상호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여야 모두 수협중앙회 지방이전 법안을 발의했고, 부산과 전남에서도 적극적으로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공적자금 상환이 아직 완료되지 않아 노 당선인이 정부와 국회의 압박을 방어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수협중앙회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본사 이전과 관련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만큼 특별한 입장을 갖고 있지는 않다"면서 "정부의 압박이 있는 상황도 아니고 국회에서 개정안이 발의된 정도에 그치고 있는 만큼 진행되는 상황을 지켜보는 정도"라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