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20508500023

기준금리 또 오를 수 있다는데···대출금리 얼마큼 치솟을까

글자확대 글자축소
유한일 기자
입력 : 2022.05.09 07:17 ㅣ 수정 : 2022.05.09 07:17

미국 빅스텝發 한국 기준금리 인상 압박
연내 도달 기준금리 전망치 2.25~2.50%
기준금리 인상에 대출금리 상승 불가피
주담대 6%대 기록...가계대출 계속 올라
은행권 “상환력 고려한 대출 전략 필요”

image
서울의 한 시중은행 창구.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미국이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최대폭으로 끌어 올리면서 5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주요국의 긴축 움직임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박 등을 고려했을 때 본격적인 ‘연쇄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다. 

 

앞으로 이어질 기준금리 인상은 은행권의 대출금리 상승을 부채질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 거의 모든 대출 상품 금리가 오르면서 차주들의 이자 부담 증가도 불가피하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오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한국은행 금통위는 지난달 14일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1.50%로 0.25%포인트(p) 인상한 바 있다. 

 

시장에서는 이달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결정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지난 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기존 연 0.25~0.50%에서 연 1.00~1.25%로 인상했기 때문이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p 인상(빅스텝)한 건 2000년 5월 이후 22년 만이다. 

 

‘인플레이션 파이터’를 자처한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에 시동을 건 만큼 한국은행도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빅스텝 단행으로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좁혀졌다. 외국계 자본 유출과 원화 가치 하락 방어를 위해서라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얘기다. 

 

현재 거론되는 연내 한국 기준금리 전망치는 연 2.25%다. 심지어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연 2.50%에 도달할 것으로 봤다. 인상폭을 0.25%p를 잡으면 현재 수준(연 1.50%)에서 최소 3~4차례 인상될 것이란 관측이다. 올해 남은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는 5·7·8·10·11월로 총 5차례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이 5월과 7월, 10월 세 차례에 걸쳐 추가로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전망한다”며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폭을 확대한 상황이어서 금통위가 추가 금리 인상을 서둘러야 할 명분이 커졌다”고 밝혔다. 

 

image
한국은행. [사진=연합뉴스]

 

문제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금리 상승세도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지난해 저금리 기조 속에서 돈을 빌린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이나 빚투(빚 내서 투자)족들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우려된다. 

 

대출금리는 시장의 기준이 되는 준거금리에 차주 신용도별로 매겨지는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빼 산정한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준거금리에 해당하는 국채·은행채 등의 금리가 뛰기 때문에 전체 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은 ‘은행들의 은행’이다. 기준금리가 오를 경우 은행들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때 내는 이자도 비싸진다. 결국 은행들은 대출금리를 올려 기준금리 인상에 대응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다만 시장금리는 기준금리에 선행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움직임이 선(先) 반영돼 대출금리가 더 빠르게 오를 수 있다는 얘기다. 본격적인 ‘이자의 역습’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차주들이 가장 많이 이용 중인 신용대출과 주담대 금리 역시 우상향을 그릴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연 3.98%로 4% 돌파를 목적에 뒀다. 

 

최근 일부 시중은행들이 취급한 주담대 고정금리 상단은 연 6%대 중반을 기록 중이다. 주담대 금리가 연 6%대를 넘어선 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약 14년 만이다. 시장에선 연 7% 돌파를 시간문제로 보고 있다. 

 

가계대출의 80% 이상이 금리 인상에 취약한 변동금리인 만큼 가계의 이자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p 오를 때마다 차주 1인당 이자 비용은 약 16만원씩 올라간다.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고강도 대출 규제 등의 영향으로 대출 여력이 늘어난 시중은행들은 최근 경쟁적으로 ‘대출 문턱 낮추기’에 나서고 있다. 신용대출 한도 확대와 주담대 만기 연장 상품 출시 등이 대표적이다. 여신 확대에 따른 수익성 제고 목적으로 풀이된다. 

 

일례로 최근 신한은행과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등이 출시한 최장 만기 40년짜리 주담대의 경우 기간이 길어진 만큼 매월 원리금 상환 부담은 덜 할 수 있지만, 총 내야 할 이자가 더 늘어나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만큼 앞으로 대출 전략에 대한 차주들의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상환 능력을 고려한 대출 실행, 적용 금리 선택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선 대출을 상환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만, 당장 상황이 여의치 않은 분들이 대부분일 것”이라며 “당장 직면한 금리가 낮은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앞으로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선택에 있어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