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증권가는 4일 한국 주식시장이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 재시도를 위해서는 우선 관찰국 리스트에 등재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가 올해 외환거래 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적극 개입하기로 해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커졌으나 만만치 않은 일이라는 게 증권가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다만, 시장전문가들은 정부와 금융권이 힘을 합쳐 한국 주식시장을 선진국 지수에 편입 시킨다면 국내 주식시장에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 MSCI 선진국지수 편입에 4년 연속 실패했다.
문제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해서는 외환시간을 연장하고 역외 원화거래를 허용해야 하는 데, 그간 정부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외환시장 안정을 이유로 완전 개방을 반대해 왔다.
이러한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정부는 최근 외환거래시간 연장과 해외기관 외환시장 참여허용 등 외환시장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해외투자자 시장접근성 제고 및 외환시장 안정성 유지를 함께 고려하면서 외환제도 개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상반기 종합적 개편방향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투자자들이 국내 외환시장에 직접 참여할 수 없고, 외환시장 마감 후 환전이 곤란하다는 불편사항 때문이다.
그러나 당장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기대하긴 힘들다.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해서 우선 오는 6월 관찰국 리스트에 등재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지수 편입까지는 빨라도 2년이 걸리는 데다 다음 달 대선 등 불확실한 변수는 남아 있어 한국 증시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은 다음 정부의 몫으로 남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형렬 교보증권 센터장은 “현재 한국은 선진지수 편입 자격이 안 돼서 많은 조건을 충족해야 하고 시간도 오래 걸린다”며 “특히 외환시장 개방부터 여러 가지 다른 선진 지수 주식시장과의 거래·투자환경까지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그동안 리스트에는 있었으나 리스트에도 탈락되었다”며 “정부와 금융당국이 함께 노력해 편입만 된다면 국내 증시엔 당연히 혜택을 볼 수 있는 방법들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MSCI 지수란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사가 투자정보 제공 차원에서 발표하는 증시 지수로, MSCI는 매년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선진국 지수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함께 정부가 한국의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추진하면서 공매도 전면 재개가 언급되고 있다.
공매도 금지는 그간 글로벌 스탠다드에서 벗어나 MSCI 지수 편입을 가로 막는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한국은 MSCI 신흥국 지수에 편입돼 있다. MSCI 신흥국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패시브 자금 약 134억4000만달러가 한국 증시에 유입돼 있다.
MSCI는 각국의 증시 규모와 제도 수준 등을 고려해 선진시장(DM), 신흥시장(EM), 프런티어시장(FM)으로 구분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선진 시장은 미국과 일본, 영국 등 23개국이 포함돼 있다.
일각에서는 역외 환율시장 전면개방과 전면적 공매도 허용이라는 조건을 고려하더라도 승격 가능성을 무조건 예상하기도 어렵다.
정부의 제도 개선 외 시장이 건전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규제당국과 기업들의 주주친화적인 환경 세팅과 개인투자자들의 꾸준한 자금유입 등도 뒷받침 돼야 한다.
금융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 “MSCI 선진 지수 편입이 되면 시장의 수급 중 한 축이 죽은 테마주나 박스권 장세가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며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결론적으로 박스권의 지속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패시브 자금 유입이 되면서 증시에 호재일 수 있으나 무차입 공매도 등 전면적 공매도가 허용될 시, 변동성은 커지면서 자금조달 수단이나 여력이 충분한 외국인 투자자들에 휘둘리는 장세가 연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