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사외이사가 대부분 ESG委 위원장 겸직… 전문성 부족"

박기태 기자 입력 : 2021.07.26 14:07 ㅣ 수정 : 2021.07.26 14:07

리더스인덱스, 334개 기업 대상 조사… 대기업 29%만 ESG委 설치 / 학계 출신 위원장이 32%로 최다… 검찰 등 관료·재계 출신은 26%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뉴스투데이=박기태 기자] 기업 내 ESG위원회(환경·사회·지배구조)가 제 역할을 다할 수 있을까. 지난해부터 환경·사회·지배구조(ESG)가 국내 기업들 사이에 빠른 속도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ESG위원회의 전문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ESG위원회 위원과 위원장을 대부분 ESG 분야 전문가가 아닌 기존 사외이사가 겸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하는 334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334개 기업 중 ESG위원회를 설치한 곳은 29%인 97곳에 불과했다. 이 가운데 ESG위원장이 선임한 기업은 69곳으로 조사 대상 기업의 20.6%였다.

 

업종별로는 통신(100%), 상사(83.3%), 철강(75%), 은행(70%) 순으로 ESG위원회 설치 비중이 높았다. 특히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철강업종은 유럽의 탄소세 부과 등 영향으로 12곳 중 9곳이 ESG위원회를 만들었다. 

 

반면 자동차와 부품, 에너지, 조선기계 설비 업종은 ESG위원회 설치 기업이 30% 이하로 낮았다.

image
[자료=리더스인덱스]

 

더욱이 ESG위원회 위원과 위원장을 대부분 사외이사가 겸직하고 있어 일부 전문성 논란도 제기된다.

 

위원장의 이력은 학계 출신이 전체의 32%로 가장 많았고, 관료 출신과 재계 출신이 각각 26%로 뒤를 이었다. 관료 중에는 검찰과 국세청 출신이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ESG위원장 중 여성은 8명(12%)으로, 여성 등기이사 평균 비중(5%)보다 2배가 높았다. 

 

오너 중에서는 카카오 김범수 의장과 엔씨소프트 윤송이 최고전략책임자(CSO, 사장)가 ESG위원장을 맡고 있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지금까지 ESG위원장의 면면 등으로 비춰 볼 때 ESG위원회가 전문성보다는 사외이사의 연장선상에 있는 조직이 아닌가 의심된다"며 "전문성도 부족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국내 ESG위원회가 설치된 기업은 정작 필요한 곳 보다는 쉬운 곳만 우선 만들어졌다"며 "현재 ESG위원회가 활동위원회의 연장선에 불과하고 구성원의 전문성도 매우 부족하다"고 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