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 사례분석 (11)] 환경 D등급 받은 SK증권, 김신 드라이브로 ESG채권 2조 4000억원 주관
고은하 기자 입력 : 2021.05.10 17:24 ㅣ 수정 : 2021.05.11 15:54
ESG채권 발행 및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참여 등에서 가시적 성과 거둬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경영 및 투자는 한국은 물론 글로벌 경제의 가장 뜨거운 화두이다. 하지만 시장의 평가는 아직 미지수이다. 그 명성만큼 '안정성'과 '수익성'이 확보되는 지에 대한 실증적 검증 작업은 미흡하다. 이는 ESG 경영에 대한 글로벌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문제점이다. ESG경영에 대한 실체적 평가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례분석'이 축적돼야 한다는 것이다. 뉴스투데이가 그러한 평가 노력을 시작한다. <편집자 주>
[뉴스투데이=고은하 기자] SK증권(대표이사 김신)은 한국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에서 2020년 기준 환경(E) D등급, 사회(S) A등급, 지배구조(G) B등급을 기록, 통합등급 B를 받았다. 지난해 지속가능성장과 관련된 대규모 ESG채권 발행 주관 등의 경영실적을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성장의 핵심지표인 E부문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은 게 눈길을 끈다.
2013년에 취임한 9년차 최고경영자(CEO)인 김신(58) 대표는 ESG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탄소배출권 투자 및 중개 그리고 ESG 채권발행 등에서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SK증권이 ESG의 중요성과 성장성을 예견하고 대비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SK증권은 2017년 신재생에너지본부를 신설했다. 이를 토대로 지난해 기후금융본부로 확대 개편 후, 각 부서별로 진행하던 ESG활동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사업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올해 ESG부문을 신설조직으로 확대했다.
SK증권의 ESG채권 발행 주관 규모는 2조 4000억원에 달한다. 우선 지난해 5, 6월에 금융취약계층 및 코로나19 피해로 인한 중소가맹점 지원 목적으로 신한,KB국민카드 ESG채권에 총 2000억원을 주관하는 등 꾸준히 ESG 채권 사업의 문을 두드렸다.
SK증권이 ESG 채권 주관에 적극적으로 관여한 건 지난해 3분기부터다. KB금융지주는 지난 해 10월 금융지주사 최초로 5000억원 규모의 상각형 조건부자본증권(CoCo Bond) ESG채권 을 발행했다. SK증권은 키움증권과 공동 대표 주관사로 참여했다.
이 채권은 5년 Call 4350억원, 10년 Call 650억원, 총 5000억원 규모로 발행되어 햇살론 등 사회적 가치 창출 사업분야 지원 및 풍력,연료전지 발전 등 녹색사업 프로젝트파이낸셜(PF) 투자에 사용된다. SK증권 관계자는 "이 펀드는 지속가능관련 금융상품이다"고 설명했다. ESG중에서 E와 S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올해 1분기엔 하나카드(1000억), 롯데캐피탈(1200억), IBK캐피탈(2000억) ESG 채권 발행 등 굵직한 딜을 연속해 주관했다.
ESG 채권 발행 실적이 급증한 배경엔 김신 대표의 확고한 의지가 자리한다. 김 대표는 지난 2017년부터 미세먼지 등 글로벌 이슈에 따른 친환경 금융상품 투자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철저한 사업 준비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SK증권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최근 ESG가 화두인데, SK증권은 김신 대표를 주축으로 몇 년 전부터 관심을 가져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ESG가 화두가 되기 전부터 SK증권 내에 신재생에너지본부가 있었다”며 “회사 차원에서 ESG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SK증권은 장기적으로 SK 계열사 이미지 탈피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2018년 사모펀드 J&W파트너스가 최대주주가 되면서 SK그룹 계열사에서 제외되었다. 2023년 12월 말까지 사명 사용기한을 연장했지만, '홀로서기'가 절실한 실정이다.
김신 대표가 ESG 채권 분야의 강자로 발돋움하려고 노력하는 것도 이 같은 노력의 일환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ESG경영이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가치로 부상함에 따라 향후 중요한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올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 진출은 또 다른 ESG경영 성과물
온실가스배출권 거래시장 진출도 김신 대표가 거둔 ESG경영 성과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28일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현행 시장조성자인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외에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SK증권 등 3곳의 증권사를 추가로 선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환경부는 사전에 신청한 총 7곳의 증권사 중에서 계량·비계량 평가를 거쳐 종합점수 고득점 순으로 하나금융투자 등 3곳의 증권사를 계약대상자로 선정했다. SK증권이 2대1 이상의 경쟁률을 뚫은 것이다.
새로운 시장조성자로 선정된 3곳의 증권사는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환경부와 4월 30일 계약을 맺고 5월 17일부터 시장조성 업무를 수행한다.
■ 환경부 관계자, "시장조성자가 배출권 호가량을 증가시키면 유동성 공급되는 개념"
이와 관련해 환경부 관계자는 10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3곳의 증권사가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시장조성 업무를 수행한다고 했는데, 구체적으로 유동성이 무엇을 의미하냐”는 질문에 “유동성은 증권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용어”라며 “호가량 자체가 늘어나는 것도 유동성이 공급됐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호가는 현재 거래되고 있는 금액과 관계없이, 시장 참여자들이 원하는 가격을 제출하는 것”이라면서 “호가 자체가 늘면 체결량도 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호가 스프레드가 있다. 최우선 매도-매수 호가가 있는데, 그것을 뺀 절대값을 호가 스프레드라고 한다”며 “스프레드가 줄수록 연속적인 호가가 형성돼 있다고 볼 수 있다. 그걸 시장의 활성화라고 한다”고 말했다. “시장을 활성화한다는 의미는 시장에 정량적인 것들을 늘린다는 의미기 때문에 유동성을 공급한다는 의미로 쓴다”는 것이다.
시장조성자로 지정되면 온실가스 배출권의 매수-매도 양방향 호가를 매일 제시하고 거래해야 한다. 시장조성자 제도는 거래가 적은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의 호가 공백을 해소하고 유동성을 공급해 배출권 거래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9년 도입된 바 있다. 시장조성자는 매월 환경부에 시장조성 실적을 보고하고 평가받아야 한다. 또, 필요시엔 시장조성 및 유동성 관리 용도 예비분을 공급해야 한다.
■ CTCN 가입등 기후변화에 선제적 대응한 SK증권, 환경부의 시장조성자 선정 기준에 부합돼
이와 관련해 환경부는 지난해 9월 ‘제3차 계획기간(2021~2025) 국가 배출권 할당계획'을 마련해 발표한 바 있다.
할당계획은 배출권 거래제 참여기업의 온실가스 배출한도와 부문별·업종별 할당 기준 및 방법 등을 정하는 계획으로, 제3차 할당계획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5년 동안 시행된다.
제3차 할당계획에 따르면, 배출권 시장의 시장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배출권 거래 허용 대상으로 할당 대상업체와 금융기관, 개인 등을 허용한다.
배출권거래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 주요 내용에 따르면, 시장조성자를 선정하는 기준은 ‘배출권 거래법’ 제22조의 2항에 따라 정해진다. 배출권시장조성자로 지정할 수 있는 대상은 ‘투자매매업과 투자중개업의 인가를 모두 받은 자’로 구체화했다.
SK증권이 3곳의 증권사 중 하나로 선정된 데는 탄소배출과 관련된 사업을 몇 년 전부터 꾸주히 해오면서 시장진출을 위한 준비태세를 갖춘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6월 SK증권은 국내 증권사들 중에서 가장 먼저 기후변화 대응 및 저탄소 기술 지원 프로젝트를 이행하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산하 기구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에 회원기관으로 가입했다. 현재 CTCN에 가입한 유일한 증권사다. 앞서 SK증권은 해외 탄소배출권 사업 등에도 활발하게 진출하면서 다른 증권사들보다 이 시장 선점에 적극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