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기준금리 인하에 '화색'…건전성 리스크는 지속
저축은행, 고금리 시기 영업 축소하며 '버티기' 모드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에 조달 부담 축소 전망
'부동산 경기 활성화' PF 구조조정 탄력 붙을 듯
건전성 개선까지는 시차 존재…"실물경기 나아져야"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저축은행업계가 반색하는 분위기다. 예대금리차 확대와 대손비용 감소가 기대돼 수익성 제고가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저축은행의 가장 큰 위험요인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연착륙도 기대되는 상황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통위는 이달 11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50%에서 0.25%포인트(p) 인하한 3.25%로 조정했다. 2021년 8월부터 지속된 긴축 기조를 완화하고 인하 사이클에 접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저축은행업계는 그간 고금리 기조에 업권 침체를 겪어왔다. 시중은행과의 수신경쟁에 밀려 자금을 조달에 부담을 겪게 되자 수신 잔액을 축소하며 비용을 축소해왔다.
이자비용이 증가하면서 대출을 내주고 얻을 수 있는 이익도 축소됐다. 이자비용이 오르는데 반해 고객에게 받을 수 있는 금리는 법정최고금리인 20%로 제한돼 수익이 저하된 것이다. 때문에 저축은행들은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진행하며 여신잔액을 줄였다.
또 부동산 PF 대출 부실 영향에 대손충당금을 크게 늘리면서 실적이 급격히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순손실은 3084억원으로 전년 동기 962억원 손실에 비해 적자 규모가 220.6%나 확대됐다.
저축은행의 적자 폭이 늘어난 것은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저하에 따른 연체 증가 및 PF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 영향으로 인한 대손비용 증가에 기인한다. 올해 상반기 말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전입액 규모는 2조3285억원으로 전년 동기 1조9323억원에 비해 20.5% 증가했다.
대손비용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진입하면서 저축은행이 부동산 PF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관련 최종 손실 규모는 2조6000억~3조9000억원 규모로 전망된다.
이정현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지난달 20일 보고서를 통해 "현재까지 발표된 수치를 고려하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관련 최종 손실규모는 2조6000억~3조9000억원이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올해 6월말 기준 저축은행업권의 전체적인 부동산 PF 관련 충당금 및 준비금 적립 규모는 2조2000억원"이라고 분석했다. 최종 손실 규모 전망치와 비교하면 최소 4000억원에서 최대 1조7000억원의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로 고금리 부담이 줄고 시중 유동성이 증가하면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부담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 말 기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16조6000억원 규모로, 본 PF 6조5000억원, 브리지론 1조3000억원, 토지담보대출 8조8000억원이다. 이 중 유의‧부실 우려 익스포저 규모는 4조5000억원이다.
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 부실 사업장에 대한 경‧공매 역시 활성화돼 부동산 PF 구조조정에 탄력이 붙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건전성 리스크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수신금리는 시장금리보다는 각 저축은행의 대출 가능 규모와 만기 도래 자금 여부 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기준금리 인하가 저축은행 업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이 2012년 7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총 0.75%p 인하했을 당시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이 개선된 것은 2014년부터다. 기준금리 인하가 건전성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 1년여의 시간이 걸린 것이다.
저축은행은 업권 특성상 중‧저신용자, 다중채무자가 차주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차주의 상황여력이 개선돼야 건전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조달비용 부담이 축소되는 것은 분명 긍정적이나, 그 영향이 당장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가계대출을 강력히 규제하고 있어 대출금리 인하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축은행업계의 다른 관계자는 "건전성 리스크는 당장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며 "차주의 상환여력 개선이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부동산 경기, 내수 진작 등 실물경제가 좋아져야 건전성 지표가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