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40818500010
홍기훈, 이주환의 ESG공시 금융

ESG 경영과 ESG 행정의 차이

글자확대 글자축소
황수분 기자
입력 : 2024.08.19 08:22 ㅣ 수정 : 2024.08.19 08:22

image
[2023 굿잡코리아 포럼]에서 주제 발표하고 있는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모습. [사진=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 지난 세 편의 칼럼을 통해 우리는 한국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서 공개초안 내용을 보면서 이 기준이 어떠한 관점에서 개발되는지를 살펴봤다. 이번 칼럼에서는 보다 가벼운 내용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 

 

최근 필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다. 그 중 “지자체에서 ESG에 관해 관심이 많던데 ESG가 뭐길래 지자체에서 그렇게 관심을 두는 거에요?”라는 질문이 새로운 느낌이 들었고 이 같은 궁금증을 갖는 독자들이 더 있겠다 싶었다. 

 

우리가 지금껏 얘기했던 ESG는 기업과 투자 측면에서의 ESG였다. 즉 전통적인 재무요인 외에 비재무적 요인을 공시해 정보이용자들의 투자의사 결정 시 기업이 마주할 지속가능성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는 것을 말해 왔다. 

 

기업들은 필요한 자금을 조달받기 위해서 투자자가 필요로 하는 지속가능성 정보를 공시한다. 그렇다면 지방자치단체 같은 조직에서는 왜 ESG를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일까. 지방자치단체도 투자 받기 위해 ESG를 하는 것일까.

 

지방자치단체가 ESG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함이다. 물론 기업들도 지속가능성 정보를 공시하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다. 그러나 기업들은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보다 좀 더 비즈니스적인 관점을 갖고 있다.

 

기업은 여러 국가의 지속가능성 규제에 대응하지 못하면 현재 진행하는 사업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부실한 ESG 경영 현황을 공시한다면 주요 연기금과 같은 투자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질 수 있고, 이로 자금 조달에 문제가 생길 경우 기업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업들은 그들의 사업을 지속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ESG 경영을 하는 것이고 그 부산물로 사회적 가치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중앙정부나 지자체는 그 목적 자체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물론 정부기관들도 채권 발행 등 금융과 전혀 무관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아직은 국내 지방채의 발행은 그 규모가 작은 편이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려는 목적이 더 크다고 보여진다. 

 

이런 점에서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사용하는 ESG 행정이라는 용어는 유엔(UN)에서 발표한 17가지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에서 나오는 개념을 표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UN에서 발표한 17개 지속가능발전목표는 △빈곤퇴치 △기아 종식 △건강과 웰빙 증진 △양질의 교육 보장 △깨끗한 물과 위생 보장 △모두를 위한 에너지 보장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사회기반시설 산업화 및 혁신 △불평등 감소 △지속가능한 도시와 주거지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기후변화 대응 △해양생태계 보존 △육상생태계 보존 △평화·정의·포용적인 제도 △글로벌 파트너십 등으로 구성됐다. 

 

ESG에 대한 관심이 커질수록 우리는 지방자치단체의 ESG 행정에 대한 뉴스를 더 많이 접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뉴스를 접할 때 우리는 기업들의 ESG 경영을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부기관의 ESG 행정과 기업들의 ESG 경영은 목표가 다르다는 점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각 조직의 목표가 다름을 인지한다면 그들이 추구하는 ESG가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많이 본 기사

ENG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