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투분석] 서울 아파트 당첨률 '2%' vs. 대구 당첨률 '100%' 사연 알고보니

김성현 기자 입력 : 2024.03.02 07:00 ㅣ 수정 : 2024.03.02 23:04

서울 아파트 청약 신청자 100명 가운데 2명 당첨
30대 연령층 당첨 확률 가장 낮아...서울·수도권 입주 공급물량 태부족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사진=Freepik]

 

[뉴스투데이=김성현 기자] 서울에서 아파트를 분양받는 게 이제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청약에 신청한 이들 100명 가운데 당첨자는 고작 2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특히 연령별 당첨률에서는 30대 당첨 확률이 가장 낮았다.

 

30대 연령층 직장이 대부분 서울 혹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자리잡고 있어 서울·수도권 입주를 원하는 수요는 늘어나고 있지만 공급물량이 부족해 당첨 가능성이 희박한 점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 서울 당첨률 2%... 대구는 신청만 하면 당첨

 

2일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한국부동산원 청약자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있는 아파트 청약에 36만3054명이 참여했으며 당첨률은 2.5%(8989명)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다음으로 당첨률이 낮은 지역은 충북(4.3%)이며 △대전(4.4%) △충남(8.8%) △경기(10%) △강원(11.5%) △인천(13.2%) △광주(16%) △부산(21.2%) △전남(21.4%) △경북(38.7%) △경남(50.5%) △울산(73%) △제주(85.7%) △대구(100%)가 뒤를 이었다. 

 

가장 낮은 당첨률을 기록한 서울과 100% 당첨률을 보인 대구 격차가 눈에 띄었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대구의 100% 당첨률은 정부가 지난해 1월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 영향이 컸다"며 "특례보금자리론은 소득에 상관없이 9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최대 5억원까지 고정금리로 대출해 주는 정책금융상품"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근 몇 년간 극심한 미분양을 겪은 대구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기 위해 조건이 바뀌었거나 할인분양이 이뤄진 점도 당첨률 100%를 일궈낼 수 있었던 요인으로 꼽힌다. 

 

 

image
[표=리얼하우스]

 

연령대별로는 30대 이하가 7.99%로 당첨률이 가장 낮았으며 60대 이상(8.4%) 40대(8.51%) 50대(9.19%) 등이 뒤를 이었다.

 

리얼하우스는 "20~30대는 무주택기간과 청약통장 기간 등이 상대적으로 짧고 경쟁이 치열한 지역에 청약이 몰렸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업계 전문가들 또한 리얼하우스와 비슷한 의견을 냈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30대 이하 청약자는 주로 경쟁이 치열한 대도시나 인기 지역에 몰려있다"며 "인기가 있는 만큼 당첨 확률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젊은 세대들은 윗 세대에 비해 자금은 부족하지만 신경써야 할 문제가 많다"며 "결혼도 해야하고 그 후에 아이를 낳는 계획도 세워야하기 때문에 당장 내 집을 마련하기 보다는 다른 형태 주거를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청년 및 젊은 층 청약 기회를 높이기 위해 19~39세 미혼 청년을 위한 ‘특별공급’과 최고 연 4.5% 금리를 제공하는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을 시행하는 등 관련 제도를 손보고 있다. 

 

또한 다음달부터 ‘부부 개별청약 신청’과 ‘신생아 특별공급’도 시행할 예정이다. 

 

리얼하우스 관계자는 "신생아 특례대출과 청년주택드림 대출에 모두 적용되는 85m²(약 26평)·6억원 이하 아파트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해당 가격대와 면적대의 인기가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올해도 서울 아파트 당첨률 낮을 전망

 

이러한 대책에도 올해 전망은 그렇게 밝지 않다.

 

부동산 리서치 기관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민영아파트(민간분양+민간임대) 분양계획은 26만5439가구로 지난해(25만8003가구)와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최근 5년치 데이터를 종합해도 최저 수준에 머무른다. 여기에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실제 공급 물량은 연초 분양계획보다 적어 수치는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뉴스투데이>에 "수요와 공급 균형을 맞추는게 중요하다고 봤을때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이 줄어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2년 전 착공이 줄었던 만큼 올해 공급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덕례 연구위원 말처럼 올해 공급 측면에서 긍정적인 지표는 찾기 힘들다.

 

국토교통부 주택 건설 실정통계에 따르면 2021년 38만4769가구를 기록했던 착공 물량은 2022년 27만8566가구에 불과했다.

 

통상적으로 분양부터 입주까지 25~29개월 가량의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2년 전 착공 감소 여파가 올해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지난해 착공 실적은 이보다 더 심각하다는 데 있다. 

 

2023년 1~11월까지 전국아파트 착공 실적은 2022년 동기대비 52% 감소한 13만2585가구에 그쳤다.

 

2023년 1~11월 수도권 아파트 착공 실적은 2022년 동기(12만 9286가구) 대비 48% 감소한 6만6212가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2023년 1~11월 아파트 착공 건수가 6만7373가구로 2022년 같은 기간(14만9280가구)과 비교해 5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아파트 착공 실적은 6만 6212가구로 전년 동기간(12만 9286가구) 대비 48% 감소했고 같은 기간 지방은 14만 9280가구에서 6만 7373가구로 54% 줄었다.

 

부동산 관계자는 “착공 물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미래시점의 신축아파트 입주물량 감소로 이어진다”며 “신규 택지뿐만 아니라 재건축과 재개발 등 정비사업까지 포함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시장에서 수요가 높은 신축 아파트 공급과 수요 사이에 불균형이 생길 우려가 커진다”고 말했다.

 

그는 또 "착공 실적 감소는 당장 2~3년 뒤 공급 물량과 직결될 수 밖에 없다"며 "안정적인 주택 공급과 시장 안정화를 위해서라도 관련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