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원 기자 입력 : 2024.02.01 05:05 ㅣ 수정 : 2024.02.01 05:05
2명 중 1명은 정년 후에도 사회생활 계속. 일자리 퀄리티 향상은 당면 과제
[뉴스투데이/도쿄=김효진 통신원] 흔히 하로워크로 불리는 공공직업안정소에 등록된 65세 이상 구직자가 10년 전에 비해 2.2배 늘어난 25만 명을 기록하면서 일자리를 구하는 고령층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자 고용안정법에 근거하여 본인이 희망한다면 만 65세까지는 회사에서 정년이 보장되지만 연금지급 시기가 점차 늦춰지고 노년은 더욱 길어지면서 생활비도 보충할 겸 사회생활을 이어가고자 하는 이들이 많아진 탓이다.
덕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에 의하면 일본 65~69세 인구의 노동시장 참여비율은 2명 중 1명인 52%로 미국(33%), 영국(26%), 독일(20%)은 물론 데이터로 조사된 37개국 중에서 가장 높았다.
일본 정부 입장에서도 가뜩이나 산업 전반에 걸쳐 인력부족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일할 의욕을 가진 고령층이 늘어난다면 공급규제 완화나 잠재성장률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기에 마다할 이유가 없어 이들의 사회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실제로 하로워크의 주 이용자는 고령층으로 점차 바뀌고 있는데 2001년부터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하로워크를 찾는 이들은 25세에서 29세 사이의 아르바이트로만 생계를 이어가는 프리터들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65세 이상 고령층이 이들을 완전히 역전했다. 2023년 기준 25~29세 하로워크 이용자는 10만 명 감소한 19만 6000명을 기록한 반면 65세 이상은 14만 명 늘어난 25만 6000명에 달했다.
하로워크 전체 구직자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10년 전에 비해 8포인트 늘어난 13%로 여기에 55세 이상까지 포함한다면 3분의 1까지 비율이 커지는데 뒤바뀐 일본의 인구비중만큼이나 고령층의 사회활동도 늘어난 셈이다.
다만 현재까지는 일자리 매칭만 놓고 보면 만족스러운 결과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65세 이상 구직자 중 취업으로 연결되는 비율은 21%로 전체 평균 27%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대다수가 사무직을 희망하지만 이들을 위해 마련된 구인공고는 건물경비, 청소와 같은 단순노동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일본 정부는 고령층의 직무인식을 개선하는 한편 정년 자체를 70세까지 연장하는 법안 등을 준비 중에 있어 여유로운 노년을 즐기는 이들은 앞으로도 줄어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