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금융 효과’ 은행 예대금리차 계속 축소···하반기도 이어질까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은행권이 잇따라 실시한 상생금융 정책 영향에 예대금리차 축소 현상도 지속되고 있다. 은행들이 차주 이자 부담 완화 차원에서 실시한 대출금리 인하가 예대금리차를 좁히는데 주효했다.
은행권에선 시장금리 하락세와 상생금융 지속성을 봤을 때 하반기에도 예대금리차가 좁혀질 가능성이 크다고 관측한다. 이는 갈수록 은행의 ‘마진’이 줄어든다는 의미로, 수익성 둔화 우려도 이어질 전망이다.
12일 전국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5월 기준 예대금리차(서민금융 제외)는 1.03%포인트(p)로 전월(1.15%p) 대비 0.12%p 축소됐다. 3월부터 3개월 연속 감소세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취급한 대출금리에서 저축성수신금리를 뺀 수치다. 예대금리차가 축소됐다는 건 자금 예치 고객에 내주는 금리와 대출을 내줄 때 받는 금리의 격차가 좁혀졌다는 것으로 마진이 줄었다고 볼 수 있다.
지난 3월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금리 평균은 연 4,69%였는데 5월에는 연 4.56%로 0.14%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저축성 수신금리 평균은 연 3.53%에서 연 3.54%로 0.01%p 올랐다.
눈에 띄는 건 해당 기간 시장금리 흐름이다. 한국은행은 올 1분기 기준금리를 연 3.50%로 올린 뒤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데, 고금리 기조 속에서도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오히려 내려가고 있다.
이는 올 초부터 시작된 은행들의 상생금융 정책이 반영된 결과다. 금융당국은 고금리로 차주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되자 은행들에 상생금융을 주문했다. 사실상 대출금리를 내리라는 압박이다.
케이뱅크·카카오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평균 예대금리차도 지난 3월 2.80%p에서 5월 2.21%p로 0.59%p나 하락했다. 포용금융 이행 차원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의 금리를 선제적으로 인하한 게 예대금리차 축소로 이어졌다.
여기에 은행권 이자 장사 방지와 금융 소비자 선택권 확대 차원에서 지난해 7월부터 시행된 예대금리차 공시 제도 효과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매월 게재되는 성적표에 은행들의 ‘금리 관리’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주로 (대출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가 조정된 영향도 있지만 가장 큰 건 상생금융으로 가산금리를 많이 낮춘 것”이라며 “신규 실행분에 대출금리 인하 효과가 많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에선 최근 정기예금 금리가 조금씩 상승하고 있는 반면 상생금융 정책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점을 비춰봤을 때 하반기에도 예대금리차 축소 현상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대출 수요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추세적 상승세라고 보기 어렵다는 분석도 만만치 않다. 이런 상황에 청년도약계좌 등 상대적으로 고금리를 주는 정책형 금융 상품 취급 확대도 예대금리차가 좁혀지는데 기인할 것이란 관측이다.
은행 입장에선 예대금리차가 축소될수록 마진 감소를 피해갈 수 없다. 시장에서 은행의 핵심 수익성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 같은 요인 때문이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하반기 한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가정하더라도 (은행의) NIM 하방 압력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대출금리 상승 효과가 일단락됐지만 조달금리 상승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지며 둔화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