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황수분 기자] "디지털 기술의 변화가 미래 일자리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홍기훈 홍익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10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23 굿잡 코리아 포럼’에서 ‘일자리 창출의 새로운 기회, 신기술’을 주제로 한 발표에 나서 이 같이 전망했다.
홍 교수는 “기술이 고용을 줄이거나 늘리는 것은 적용 맥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기술은 중립적이라며, 결국 사용하는 방식이 중요하다"면서 “기술은 특정 기술과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큰 변화를 가져온 챗GPT를 사례로 들며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복잡하며 특정 기술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GPT에 자동화와 일자리 창출, 통신, 세계화, 기술 요구 사항 등에 대해 직접 구체적인 질문을 던져봤다”며 “그 결과 향후 인간의 단순노동 개입은 줄어들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방향성으로 보면 인간 노동의 개입 감소, 자동화, 맞춤형 대응, 옵션의 다양화, 빠른 배송 규모의 경제에 의한 비용(돈·시간·거리·노동 등)절감을 통한 가격절감 노동수요는 점차 감소할 것”이라며 “향후 경제 활동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고, 디지털 기술의 일자리와 노동자의 소득에 대한 영향 또한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반대로 디지털 기술의 성장은 경제 팽창을 통해 노동수요를 키울 수도 있다. 홍 교수는 “디지털 기술은 인간 노동자가 수행했던 일부 작업을 대체해 노동수요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경제 팽창을 통해 노동 수요를 증가시켰다”며 “기술의 특성과 노동자 업무, 특성 등에 따라 노동수요의 증감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홍 교수는 “결국 기술의 발전을 통한 효율성 증진은 막을 수 없다”며 “기술의 발전은 필연적이라 기존 업무 대체에 의한 노동수요 감소를 제어하지 못한다면, 성장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노동수요의 증감을 결정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경제적 성장은 고용을 포함해서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거의 대부분 문제를 일단은 해결해 줄 것”이라며 “그렇다면 기술로 인한 효율화를 통해 노동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맞는 해법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결론적으로 디지털 뉴딜에 있어 선택과 집중이라는 숙제의 답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에 먼저 집중하는 것이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