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부동산 PF대출 증가 우려…업계 "안전자산 위주 취급 리스크 낮아"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보험업계 유동성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규모가 확대돼 리스크 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보험업계의 부동산PF 대출 잔액 규모는 생명보험업권 25조4000억원, 손해보험업권 17조6000억원으로 총 43조원이다. 이는 2019년 말 29조원과 비교해 48% 증가한 수치다.
같은 시기 은행권의 PF대출 잔액은 28조3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 26조7000억원, 저축은행 10조7000억원, 증권사 3조3000억원이다. 보험업계의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타 업권과 비교할 때 월등히 큰 수준이다.
보험업계의 부동산PF 대출 잔액 규모 증가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 신규 해외 대체투자가 위축되자 PF대출을 확대한 결과다. 또 2023년 도입되는 신지급여력제도(K-ICS) 하에서 부동산 보유에 따른 요구자본이 증가한 영향도 있다.
K-ICS는 부동산 보유에 따른 요구자본을 부동산 보유액의 25%로 정하고 있는데, PF대출의 경우 2.9~12.7%로 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금리 상승 및 국제원자재 가격상승 등으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되면서 PF 대출 관련 잠재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 수도권보다는 지방 소재 사업장에 대한 PF대출이 더 크게 늘었고, 미분양 리스크에 노출된 사업장의 비율이 54.9%에 달해 PF대출 부실화 위험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최승호 예보 생명보험분석팀장은 "PF 사업 특성상 여건 악화 시 부실이 전이되며 사업장들의 건전성이 동시에 악화될 우려가 있고, 부실 인식이 이연된 사업장들이 존재할 수 있어 선제적인 점검을 통해 부실이 일시에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예보가 분양 미개시 사업장 및 분양개시 후 1년이 경과했음에도 분양률이 60%를 넘지 못하는 사업장 비중을 분석한 결과 손보사의 경우 6월 말 기준 51.6%에 달했다. 금액으로 따지면 약 9조원이 미분양 리스크에 노출된 것이다.
미분양 주택이 단기간 급증하게 되면 본 PF대출(사업인가 후 대출) 부실 역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다.
보험업계의 부동산 PF대출 위험노출액(익스포저) 규모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보험업계의 자기자본 대비 PF대출 익스포저 비율은 올해 6월 53.6%로, 은행(12.9%)과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인다. 여전업계(84.4%)와 저축은행(79.2%)보다는 낮으나 아파트 외 주택과 상업용 시설 등 리스크가 더 큰 사업장에 주로 취급하는 증권업계(38.7%)보다도 높은 상황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부동산 PF대출 관련 심사를 강화하는 등 관리에 나서고 있다"면서 "부동산 PF대출 취급을 줄이거나 취급하지 않는 보험사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이달 중 대부분 회수가 이뤄져 리스크가 크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보험사의 부동산 PF 대출은 대부분 시공사 책임준공 및 선순위 수익권을 담보로 확보하고 있어 손실 위험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부동산 PF 리스크에 대비해 선순위채권을 위주로 PF대출을 취급하고 신규 취급 건을 줄인 만큼 대출금 회수가 되면 리스크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보험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이달 중 대부분 보험사의 부동 PF 대출이 회수되는 것으로 안다"면서 "보험업계는 대부분 선순위채권 등 안전자산 위주로 취급하고 신규 취급의 경우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회수가 이뤄지면 리스크가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