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병기 서울대 교수 "에너지 전환 관리할 독립기구 마련돼야"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면서 에너지 전환을 관리할 독립적인 의사결정기구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주병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18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빨라지는 글로벌 ESG 제도화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주제로 열린 'ESG 포럼 2022' 종합토론에 나서 이같이 말했다.
이번 포럼은 뉴스투데이가 국민의힘 임이자‧최형두 의원,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의원과 공동주최했다.
이날 종합토론 사회를 맡은 정삼영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는 주 교수에게 기업의 ESG 경영 방침이 정치적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방법을 물었다.
주 교수는 "정치적 지향 때문에 에너지 전환의 이슈가 향방을 크게 바꾸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불행한 현실"이라며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관리할 실행력 강한 의사결정기구와 그 기구의 독립성, 자율성을 확보하는 법제를 마련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주 교수는 ESG 경영의 방향을 결정하는 주체는 소비자와 시민이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자본주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기업이 될 수도 있지만, 더 중요한 힘은 소비자와 시민"이라며 "소비자와 시민이 행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는 제도와 규제를 만들어낼 때 기업이 움직인다. ESG 경영이 바로 그런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세계가 기후위기와 관련해 어떤 강제 기구를 마련하고 규제를 시행할 것인가에 대해 아주 심각한 고민을 하고 있다"면서 "ESG 표준화가 충분히 잘 이뤄지고 투명한 정보공개가 이뤄질 수 있다면 기업이 이를 표준으로 국제 규제를 극복하고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 교수는 "탄소 배출과 관련해 책임 있는 선진국에 역사적 책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해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 기회를 보장하는 규범이 필요하다"는 청중의 의견에 대해 "현재 파리기후협약은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춰져 있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제할 수 있는 수단을 속히 만들어야 한다는 게 국제사회의 중요한 과제"라면서 "미국처럼 협약을 탈퇴하면서 분위기를 흐리는 나라에 대한 처벌 조항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한편, 이번 포럼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추진, ESG공시기준을 반영한 새 국제회계기준(IFRS 17) 내년 도입 등과 같은 글로벌 ESG제도화의 현실을 점검하고 그에 따른 글로벌기업들의 대응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학술적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주제발표는 ▲헬렌 거펠 CBRE 지속가능성 및 혁신부문 대표와 정삼영 연세대 교수의 ‘빨라지는 글로벌 ESG 제도화와 CBRE의 지속가능경영 전략’ 화상대담 ▲주병기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의 ‘지속가능개발과 선한 자본주의:ESG의 도덕적 기초’ ▲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의 ‘ESG와 글로벌 거시경제 여건의 변화’▲ 김지환 수원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의 ‘기업들이여 ESG쟁이가 아닌 ESG장이가 되자’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이후 진행된 종합토론에는 ESG센터 연구소장인 정삼영 연세대 교수 사회로 주제발표자인 주병기, 성태윤, 김지환 교수 그리고 토론자인 이상백 애스퍼레이션 서울 대표 등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