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올 겨울 대비 대대적 비축에 나섬에 따라 국제 천연가스 가격도 출렁일 가능성
천연가스는 장기적으로 원전과 더불어 탄소중립을 위한 징검다리 에너지로서 주목받아 왔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따라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중기적으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장 야심찬 탄소중립의 도정을 선포하여 실천하고 있는 유럽의 경우 에너지 시장의 민영화에 따른 수익성 확보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천연가스 장기계약을 단기계약으로 대부분 전환함으로써 2020년 이후 코로나 글로벌 팬데믹의 충격을 가장 많이 받은데 이어 이번 러시아-우크라 사태에 따른 영향이 이를 가중시키고 있다. 제조업 비중이 높은 우리와 중국 및 일본 역시 천연가스 의존도가 막대한 상황에서 유럽의 상황 및 대응에 이어 중국과 일본의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에게 제시하는 시사점을 정리해 본다. <편집자 주>
[뉴스투데이=곽대종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10월 1일부터 주택용 도시가스 요금이 15.9% 오르게 된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가 러시아-우크라 사태에 따른 LNG 국제가격의 고공 행진과 최근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천연가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졌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 국내 천연가스 도입증가율은 1990년 이래 연평균 15% 수준
이와 함께 최근 급증한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 규모도 요금 인상의 주요 요인으로 꼽히는데 지난해 말 기준 1조8천억원 수준이었던 한국가스공사의 미수금 규모는 금년 2분기 기준 5조1천억원으로 약 2.8배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가스연합(IGU)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도입량은 4690만톤(산자부 통계는 4593만톤)으로 세계 전체물량의 12.3%를 점하고 있으며 중국의 7930만톤(21.3%)과 일본의 7430만톤(20%)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천연가스 도입량은 지난 21년 동안 연평균 약 15.3%의 급증 추세를 보였는데 특히 도시가스용은 연평균 18.2%의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으며 발전용도 연평균 11.6%의 고성장세를 보였다.
• 국내 천연가스 현물도입 비중, 매년 급증 추세
특히 국내 천연가스 현물 도입비중은 2020년 약 17%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21%로 증가한데 이어 금년 1분기에는 62%까지 치솟았다고도 알려졌다.
한편 블룸버그는 이와는 다르게 보도한 바 있는데 우리나라의 2020년 LNG 현물거래 비중은 약 49%로 10% 수준인 스페인이나 15%인 프랑스보다 높으며 일본(30%), 영국(31%) 및 이탈리아(33%)는 물론 43% 수준인 중국과 터키보다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물 도입의 증가추세는 최근 수립한 천연가스수급계획 상 발전용 LNG 물량의 연평균 증가율을 과거에 비해 다소 과소하게 책정하여 모자란 물량의 민간 직도입이 불가피함에 따라 단기간에 해소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 올겨울을 대비하여 국내 천연가스 저장 능력 확충 필요
최근 블룸버그에 따르면 국내 천연가스 저장설비 중 약 34% 정도가 채워졌는데 이는 유럽이 70% 수준인 데 비해 낮은 수준이다.
천연가스 비축목표는 11월까지 90%를 달성하는 것이므로 한국가스공사의 공세적 시장참여는 전세계 천연가스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같이 가격이 저렴한 늦봄이나 여름에 물량을 많이 확보하지 않았고 최근 동절기 대비 목적으로 현재 LNG도입에 대거 나서고 있으므로 향후 글로벌 LNG시장은 더욱 과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 국내 조선업계에 유리한 LNG선 발주 증가는 對러 제재로 인한 불확실성도..
그러나 글로벌 천연가스 수요 증가는 LNG선박분야에 경쟁력을 보이고 있는 국내 조선업계로서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현대중공업그룹, 삼성중공업 및 대우조선해양은 각각 82척, 54척 및 35척의 LNG선 주문량을 보유하고 있는 상위 3개사이다. 특히 국내 3사는 천연가스(증발 가스)와 경유를 동시에 사용하여 열효율이 우수한 X-DF 시스템을 갖춘 선박의 건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러시아 고객을 위해 약 35척의 선박이 수주될 예정이므로 러시아-우크라 사태에 따른 미국의 러시아 제재는 우리 조선업계로 하여금 리스크를 초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치밀하고 정교한 대응이 동시에 필요한 상황이다.
[정리=최봉 산업경제 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