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일 기자 입력 : 2022.07.04 07:05 ㅣ 수정 : 2022.07.04 08:02
11개 금융 공기업·국책은행 본사·본점 현황 조사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국내 금융 공기업과 국책은행 중 가장 넓은 곳에 청사(본점)를 두고 있는 곳은 국민연금공단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지방으로 이전한 금융 공기업들이 넓은 부지에 본사를 짓고 생활하고 있었다.
다만 덩치가 아닌 땅의 가격으로 봤을 땐 KDB산업은행·한국수출입은행·IBK기업은행 등 3대 국책은행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서울 여의도와 을지로 등 상대적으로 땅값이 높은 지역에 본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4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부동산 정보 포털 씨:리얼(SEE:REAL) 등에 따르면 조사 대상 11개 금융 공기업·국책은행 본사(본점)의 주소상 대지면적 중 가장 넓은 곳은 국민연금공단으로 나타났다.
대지면적이란 대지의 수평 투영 면적(하늘에서 아래를 내려다볼 때 보이는 면적)으로, 건축법상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땅의 넓이를 뜻한다.
금융 공기업 중 대지면적 순위 1, 2위는 전북과 대구 등 지방으로 이전한 국민연금공단과 신용보증기금이 차지했다.
국민연금은 전북 전주시 덕진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대지면적은 3만2235제곱미터(㎡)다. 본사 바로 옆 제2 사옥인 국민연금공단 글로벌기금관의 대지면적은 2만3644㎡로 조사됐다.
대구 동구에 있는 신용보증기금 본사(신용보증기금빌딩)도 대지면적이 3만2745㎡에 달했다.
이어 △산업은행(서울 영등포구·2만1468㎡) △수출입은행(서울 중구·9110㎡) △기업은행(서울 영등포구·6739㎡) 등 3대 국책은행 본점의 대지면적이 3~5위를 기록했다.
기업은행의 경우 2017년부터 본점 맞은편에 제2 본점인 IBK파이낸스타워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곳의 대지면적은 2164㎡다.
기술보증기금은 부산 남구에, 예금보험공사는 서울 중구에 본사가 있다. 대지면적은 각각 6610㎡, 2982㎡로 나타났다.
이 외 주택금융공사와 예탁결제원, 한국자산관리공사는 부산 남구에 위치한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 입주해 있다. BIFC는 부산 혁신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건설된 63층 규모 건물로, 금융 공기관과 금융사 등이 자리잡고 있다.
서민금융진흥원 역시 서울 중구에 위치한 그랜드센트럴 빌딩에서 총 5개 층에 나눠 거주하고 있다.
금융 공기업 중 대지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국민연금공단이지만 ‘땅값’으로 하면 순위가 뒤바뀐다.
서울 지역에 있는 국책은행 본점의 경우 대지면적은 작더라도, 상대적으로 공시지가 자체가 높기 때문에 땅값도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가 조사·평가한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이다. 대지에 세워진 건물의 가격이 아닌 순수한 ‘땅’의 가격을 뜻한다.
산업은행 본점 대지의 올 1월 말 기준 공시지가는 2065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추산한 산업은행 본점 땅값은 약 4433억원이다.
특히 산업은행 대지의 공시지가는 2018년 1월(1010만원) 이후 4년 만에 2배 이상 뛴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은행 본점의 경우 산업은행 본점보다 대지면적이 3분의 1 수준도 못 미치지만, 공시지가가 6380만원에 달하면서 전체 땅값도 약 4299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수출입은행 본점은 약 1881억원 수준이다.
국책은행과 함께 서울에 위치한 예금보험공사 본사 역시 공시지가는 5534만원으로 땅값이 약 165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방으로 이전한 신용보증기금(약 384억원)과 국민연금공단(약 379억원), 기술보증기금(약 283억원) 등의 금융 공기업 땅값은 모두 400억원을 밑돌았다. 대지면적 자체는 크지만, 공시지가가 100~400만원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공기업 개혁의 일환으로 ‘호화 청사’를 매각하라고 주문한 가운데 정부는 350개 공기업 청사에 대한 전수 조사를 진행 중이다. 금융 공기업과 국책은행 역시 사정권에 들어온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파티는 끝났다’며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혁신을 예고하기도 했다.
특히 호화 청사 매각 주문과 동시에 정부는 1차 조사 항목으로 공공기관의 대지면적과 부지면적(건물이나 기타 구조물이 차지하고 있는 땅의 면적), 연면적(건물 각 층의 바닥 면적을 합한 전체 면적)을 비롯해 기관장 집무실·부속실·접견실 등 사무실 면적 등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사·본점 뿐 아니라 각 지역에 있는 사옥·지점 역시 들여다 볼 수도 있다. 연면적에 정원을 나눈 뒤 직원 1인당 차지하는 업무 면적을 계산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금융 공기업·국책은행 역시 기관이 사용 중인 건물이나 땅의 효율성·시장성에 대한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공기업마다 개별적으로 상황이 다 달라 시장성을 쉽게 예측하기 어렵다”며 “공공기업 청사별로 위치 등에 따라 선호도가 높은 곳일 수도 있고, 일부 지역의 경우 수요 시장 관심이 크지 않은 곳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매물로 시장에 나오면 건축물 가치와 프리미엄 등이 더해져 공시지가대로 거래되진 않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매각 등 처분 계획이 수립돼 실제 시장에 나와봐야 시장성 등을 따져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