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용 칼럼] 메타버스 시대에 맞는 교육 현장의 변화
[뉴스투데이=최재용 한국메타버스연구원 원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가 우리의 일상을 많이 바꾸어놓았다. 일선 교육현장도 예외는 아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이 도입되면서 교사와 학생들은 처음엔 적응하기 힘들어했다. 그러다 교육당국과 일선 교사들의 노력으로 차츰 익숙해지더니 이제는 교육 혁신으로까지 발전한 상황이다.
충북 청주 소재 청원고등학교 윤진 음악교사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음악 수업을 촬영해 유튜브에 올리기도 하고 최근에는 미국 메타버스(3차원 가상 세계) 플랫폼인 게더타운에 청원고 음악실을 만들어 학생들과 소통하며 수업을 하고 있다.
메타버스 시대에 맞는 수업은 단순히 온라인 수업 영상만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것에 그치면 안된다. 먼저 온라인 동영상을 통해 수업을 미리 듣게 하고 줌과 유사한 게더타운에서 오프라인처럼 출석해 강의도 듣고 모둠 활동을 하고 발표를 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메타버스 공간에서 수업을 진행해본 교사들에 따르면 현실 공간에서는 발표를 주저하던 학생들이 가상공간에서는 아바타(온라인에서 개인을 대신하는 캐릭터)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며 발표력이 향상됐다고 한다.
게다가 줌 등을 활용한 비대면 수업에서는 얼굴 보이는 게 싫어 비디오를 끄고 수업을 듣던 학생들도 게더타운 같은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사라졌다. 얼굴을 보며 게임처럼 교실과 운동장을 이동하기도 하고 못 만났던 친구들과 만나기도 한다. 선생님들에게도 활발하게 질문을 던졌다.
전라남도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 등에서도 교감 연수와 교사 연수 등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학습하고 있다.
이제 블렌디드 러닝(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장점을 결합한 학습 방식)을 넘어 메타버스 러닝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메타버스 러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 러닝 플렛폼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이라는 서울대학교 조차도 줌으로 수업을 할 정도로 국내 비대면 교육시장은 줌이 8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그만큼 학교나 일반 강사들이 줌에 지불하는 연간 사용료는 엄청날 것이다.
‘재미있고 효율적’이라는 평판을 얻고 있는 게더타운은 미국 스타트업 게더가 개발한 것으로 최근 신입사원 채용 설명회부터 교육, 회의 그리고 다양한 이벤트에 이르기까지 게더타운을 활용하는 기업과 기관, 학교가 늘고 있다.
그런만큼 이제라도 국내기업이 나서야 한다. 게더타운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만들어 보급하고 국내를 넘어 해외시장까지 개척해야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온라인 수업뿐 아니라 교육청 주관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를 메타버스 공간에 초대해 특강도 하고 진로 지도 설명회 같은 것도 메타버스 공간에서 진행하면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을 것이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