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펀드 사태관련 검찰수사, 판매사 기소여부에 관심 쏠려

고은하 기자 입력 : 2021.06.14 09:29 ㅣ 수정 : 2021.06.14 10:22

“라임펀드 판매 중단은 부실 인지 때문 아냐, 판매량 조절 목적”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현재까지 라임펀드 판매액이 컸던 '빅4' 판매사 중 사법처리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곳은 우리은행뿐이다. [사진=연합뉴스]

[뉴스투데이=고은하 기자] ‘라임자산운용(라임) 사태’와 관련해 펀드를 판매한 은행·증권사들에 대한 검찰 수사가 막바지로 치달으면서 우리은행 수사결과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라임펀드 판매액이 컸던 ‘빅4’ 판매사 중 사법처리 방향이 결정되지 않은 곳은 우리은행뿐이다. 대신증권·KB증권·신한금융투자는 임직원들과 법인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 등으로 이미 재판에 넘겨졌다.

 

우리은행의 라임펀드 판매액은 3577억원(계좌 수 1640개)으로 판매사 중 규모가 가장 크다. 개인 투자자에게 판 금액도 2500여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2019년초부터 같은 해 4월 말까지 우리은행은 펀드를 판매했다. 단기간임에도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데는 우리은행이 판매한 펀드가 ‘6개월 만기 상품’이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라임 정관계 로비 의혹’의 주축 인물인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은 우리은행이 판매한 라임펀드가 ‘OEM 펀드’라고 주장한 바 있다. 우리은행 측에서 가입자 수와 펀드 만기 수수료 등을 노리고 라임 측에 제안해 조성된 펀드라는 것이다.

 

우리은행 측이 판매 직후 라임펀드의 부실 사실을 인지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우리은행 리스크 담당 부서는 라임펀드 내 부실 자산이 얼마나 있는지 파악이 불가하며, 최대 30%의 손실 가능성이 있따는 취지의 내부 보고서를 2019년 2월께 작성한 것으로 조사됐다.

 

4월 초 펀드 판매 중단 결정을 내린 후에도 예약 물량을 취소하지 않고 그대로 판매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피해자들은 자산관리 담당 부서가 펀드 부실을 인지하고도 수수료를 취하기 위해 판매를 계속해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이에 우리은행 측은 내부 보고서가 상황 악화를 가정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작성됐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펀드 판매 중단도 부실을 인지했기 때문이 아닌 판매량 조절 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검찰은 우리은행을 압수수색해 라임펀드 판매 관련 자료를 확보하는 등 수사를 이어왔지만 이후 1년이 경과하도록 결론을 내놓지 못한 상태다.

 

앞서 검찰은 다른 판매사들에 대한 수사에서 라임 측과 긴밀히 소통하거나 부당이득을 챙긴 특정 인물에게 초점을 맞춰 수사한 뒤 그 결과를 기저로 나머지 법인과 임직원을 기소하는 방식을 택한 바 있다.

 

대신증권은 장모 전 반포 WM센터장이, 신한금융투자는 임모 전 PBS 본부장이 각각 수사의 시발점이 됐다. 하지만 우리은행에선 라임 측과 직접 연결된 인물이 아직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판매사 중 판매 규모가 가장 큰 데도 수사 진행이 더디게 진행된 것엔 이 같은 배경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법조계 안팎에선 우리은행 측도 법적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앞서 진행된 다른 판매사 수사 결과에 비춰보면 우리은행 측도 기소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특히 펀드 판매 관련 결재라인에 있는 직원들은 ‘불완전 판매’ 관련 책임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