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삼성·인텔 등 불러 반도체 공급망 회의…안보·일자리 확충 나서

김보영 기자 입력 : 2021.04.12 18:40 ㅣ 수정 : 2021.04.12 18:40

1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주최하는 '반도체 공급망 확충 회의' 삼성·인텔·NXP 등 글로벌 기업 19개사 참여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월 백악관에서 반도체, 배터리 등 4개 품목의 공급망에 대한 검토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생방송 중 반도체를 들어올리는 모습 [사진=WSJ]

 

[뉴스투데이=김보영 기자] 미국 정부가 개최하는 반도체 공급망 확충 회의가 12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삼성전자가 어떤 답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최강자이기도 하지만 TSMC에 이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2위 기업으로 미국의 반도체 공급망 확충에 빠질 수 없는 핵심 기업으로 국내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초청됐다.

 

삼성전자는 이날 회의에서 나올 미국의 요구가 기회이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특히 전문가들은 당장 삼성전자가 현재 검토 중인 미국 오스틴 공장의 추가 투자 결정이 당초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이 이번에 글로벌 기업들을 불러 모은 것은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타격을 줄이기 위해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체계를 강화하고, 자국 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 주요한 목적이다.

 

이 때문에 미국에서 공장을 운영 중이고 미국 내 많은 고객을 확보한 삼성전자에 백악관이 상당한 요구를 내밀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삼성전자의 경영진들은 이러한 미국 측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고심하고 있다. 미국의 요구에 즉각 화답하지 못할 경우 바이든 정부와의 관계가 불편해질 수도 있어서다.

 

재계 관계자들은 백악관이 12일 화상회의에서 자국 내 완성차 업체를 상대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실태를 파악하고, 반도체 기업에는 차량용 반도체 생산 증대와 동시에 미국 내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 확대를 강력하게 촉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미국 오스틴 공장에서 차량용 반도체를 거의 생산하지 않는 삼성전자가 미국의 요구에 차량용 반도체 생산을 늘려야 하는 부담을 떠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에 대한 미국 내 투자 압박도 거셀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미국에 170억달러(약 20조원)를 투자해 추가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하고 오스틴을 유력 후보지로 검토 중이다.

 

그러나 지난겨울 한파로 전력 공급이 중단돼 삼성의 오스틴 공장이 ‘셧다운’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투자 결정이 지연되고 있으며 셧다운 여파로 약 3000억원 가량의 매출 손실을 본 삼성전자는 현재 텍사스주와 이러한 리스크 등을 감안한 새로운 인센티브 규모를 놓고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백악관 회의가 머뭇거리던 삼성의 투자 결정을 앞당기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특히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으로 대규모 투자 결정을 망설여온 삼성이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 속에 결국 바이든 정부가 내민 청구서를 거절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오스틴 공장은 초미세공정이 아닌 14∼65나노미터에 해당하는 일반 반도체 부품 공장인데다 높은 인건비 등의 문제로 수익성이 좋은 공장이 아니다”라며 “그런데도 추가 투자를 검토하는 것은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측면이 크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바이든 정부가 미국 내 시설 투자를 유인하기 위해 이번에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삼성에도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기점으로 삼성전자의 미국 투자 결정이 생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 패권 경쟁이 과열되는 가운데 삼성이 미국의 투자 결정을 서두를 경우 대중국 사업 전략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삼성전자가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는 각각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운영 중인데, 중국 역시 반도체 공급망 확충을 빌미로 삼성에 대규모 투자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삼성 입장에서 미국 뿐만 아니라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요청도 쉽게 거절하기 힘들 것”이라며 “강대국들의 패권 다툼 속에 샌드위치 신세인 우리 기업들이 한쪽의 선택을 강요받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