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전쟁사(77)] 서부전선을 지켜낸 해병대의 '장단·사천강 전투' (중)

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입력 : 2021.01.15 18:14 ㅣ 수정 : 2021.01.15 18:14

해병 전차중대, 효과적인 보전협동 수색정찰 및 화력지원과 사천강 일대의 중공군 1개 대대 괴멸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 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뉴스투데이=김희철 칼럼니스트] ‘장단·사천강지구 전투’가 진행중이던 당시 중공군에겐 제공권이 전혀 없었다. 오히려 우리 L-19정찰기의 활동만 있었을 뿐이었는데, 어느날 중공군의 대공사격으로 사천강 주변 넓은 개활지에 격추되어 조종사가 적에게 체포되는 광경을 목격했다.

 

그러나 L-19정찰기의 추락지점이 우리 보다 적진지에서 더 가까웠고 적이 감제하는 넓은 개활지를 통과하는 불리점으로 접근이 불가능했다. 해병대 입장에서 만약 아군 전초진지 가까이에 떨어졌으면 만사를 제쳐놓고라도 그들을 구했을 것이다.

 

당시 상황을 지켜보던 5중대장 이근식 중위는 미 해병대 전차 20대, 한국 해병대 전차 5대와 함께 한미 보전협동작전으로 87m고지까지의 수색정찰을 했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투입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으나 안타까웠다. 

 

이때 장단반도의 광활한 평야에서 전투를 했던 해병대의 M4A3E8 셔먼 중형전차부대는 단순한 화력지원 위주로 운용했던 육군 보다 전차의 충격력을 과시하는 기동작전까지 전개한 최초의 전차부대였다. 

 

 

image
▲ 당시 전초진지가 있는 장단반도의 광활한 평야에서 전투를 했던 해병대의 M4A3E8 셔먼 중형전차 앞에서 전차소대 장병들에게 보전협동 수색정찰 작전에 투입되기전에 상황 설명 및 작전 지시를 하는 모습과 우측, 해병 1연대 2대대 5중대장 시절의 이근식 중위 모습 [사진=해병대/정명철] 

 

국군 전차부대 창설과 해병 1연대 전차중대의 맹활약상 

 

한편 1951년 7월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1953년 정전협정이 채결될 때까지 중부전선을 중심으로 휴전선 전면에서 피아간의 치열한 고지쟁탈전이 진행되었고, 이 기간중에 M36 잭슨 대전차 자주포를 편제한 육군의 독립 전차중대는 1951년 10월부터 전선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육군은 먼저 동해안 1군단에는 51, 56, 60 전차중대, 중부전선 2군단에는 52, 55, 58 전차중대, 그리고 금화, 철원, 연천지역의 육군 보병사단에는 53, 57, 59 전차중대를 배치하였다. 

 

육군 입장에서 대한민국 국군 최초의 전차부대는 1951년 10월 5일에 창설된 51, 52전차중대로 교육용 전차를 인수하고 전차병 교육 과정을 거쳐 M36 잭슨 대전차 자주포를 편제했다. 게다가 육군의 전차중대는 해병대 보다도 8개월이나 먼저 전선에 투입되었다.

 

하지만 해병대는 육군보다 2개월 빠른 1951년 8월 25일에 전차중대를 창설했지만 전차와 전차병은 보유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듬해 5월 4일 경기도 파주에서 해병 1연대 전차부대의 교육 수료식을 거행함과 동시에 미 해병대로부터 인수한 M4A3E8 셔먼 중형전차 20대로 완전한 전차중대를 편성하였다. 

 

해병대 입장에서는 M36 잭슨은 전차가 아닌 대전차 자주포이기 때문에 1951년 8월25일에 전차부대를 창설하여 1952년 5월4일에 M4A3E8 셔먼 중형전차를 편제하였고 이후 전선에 투입된 해병1연대의 전차중대가 국군 최초라고 주장한다.

 

육군이 경전차로 취급하였던 M36 잭슨의 경우는 전차를 지원하는 대전차 자주포였기에 북한군 전차와 실제적인 대전차 전투는 수행하지 못하였고 보병사단에 배속되어 고지 쟁탈전에서 보병 화력지원 임무 위주로 운용되었다. 

 

당시 미 육군의 전차부대가 서부지역에 집중 배치된 것과는 달리 주로 동부지역에 배치되었던 육군 전차부대의 주요 전투는 동해안 지역의 ‘월비산 및 351 고지 탈환전', 중동부 화천지역의 ‘689 고지, 오봉 고지, 삼각봉 고지, 지형능선 전투'와 중서부 금화 연천지역의 ‘노리, 베티, 쿠인, 백마 고지 전투' 등이 있다.

 

해병 1연대 전차중대는 1952년 5월 경기도 개풍군 장단면 수전포로 이동, 6월부터는 도라산 및 임진강의 ‘장단·사천강지구 전투’에 투입되었다.

 

이 전차중대는 임진강 자유의 다리를 건너 155m고지(도라산 전망대)를 중심으로 사천강 주변의 전초진지를 포함한 장단반도의 넓은 개활지에서 보전협동 수색정찰과 화력지원을 담당했다. 특히 그해 7월에는 사천강을 도강하는 중공군 보병 1개 대대 병력을 괴멸시키는 대전과도 올렸다.

 

image
▲ ‘장단·사천강지구 전투’에서 해병 1연대의 관측소(OP)로 운용한 155m고지이었던 현재의 도라전망대 모습 [사진=1사단] 

 

해병 소위로 임관 후 소대장, 중대장으로 치열한 전투임무만 수행하여 참모 업무는 생소

 

‘수류탄 돌격 소대장’으로 불리며 도솔산 전투의 영웅이었던 이근식 중위는 장단·사천강지역에서 약  4개월간의 5중대장 근무를 했는데, 치열한 접전을 치룬 우일선 대대와는 달리 그가 소속된 좌일선 2대대는 이렇다 할 결정적인 접전없이 보냈다. 다만 한미 보전협동 수색정찰 시와 중대본부에 적의 포탄 낙하로 인한 피해만 입은 상황이었다.

 

이후 그는 연대의 요청으로 작전보좌관 직책으로 전속되었다. 연대 작전보좌관은 당시의 모든 중대장들이 동경하고 희망하던 보직이었다. 

 

그는 연대 작전보좌관직을 맡은 처음에는 작전계획서 작성 등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해병 소위로 임관 후 소총소대장, 중대장을 하면서 전투만 했으니 이러한 참모 직능에 대해서 생소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이근식 중위를 요청했던 부연대장 남상휘 중령(예비역 준장, 전 포항기지사령관)의 지도로 1개월 정도 지나자 점차 극복하여 참모 임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었다.(하편 계속)

 

◀김희철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프로필▶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 (알에이치코리아, 2016)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