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의 걱정거리,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점포 감소
[뉴스투데이=변혜진 기자] 시중은행에서 점포 통폐합을 가속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점포 설치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이에 시중은행 영업지점 등의 빈자리를 저축은행이 메우면서 금융당국이 은행권 인력감축 등의 충격에 대비하고자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연내 대략 1900명대 규모의 임직원이 구조조정 대상자로 추정된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규제완화로 저축은행이 점포수를 늘리고 시중은행의 인력감축 등의 충격을 완화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4대 시중은행, 연내 119개 점포 통폐합 예상 /하나, 국민, 우리, 신한은행 순으로 올해 점포수 감소 많아
2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점포(지점·출장소) 수는 연초부터 지난 9월 말까지 119개가 순감했다.
이는 지난 2017년 3분기 누적 기준으로 141개가 순감한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올해 점포 수가 가장 많이 순감한 은행은 하나은행으로, 9월 말까지 점포 50개를 정리했다. 이어 국민은행이 48개의 점포를 통폐합했으며,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이 각각 14개, 7개 점포를 줄였다.
올 4분기에도 4대 시중은행은 총 78개에 달하는 점포를 통폐합할 예정이다. 이는 분기 기준으로 최근 5년 간 가장 많이 감소한 수치다.
국민은행이 4분기 31개로 점포를 가장 많이 통폐합하며, 이어 우리은행(19개), 하나은행(18개), 신한은행(10개) 순이다.
예정대로라면 연내 197개 시중은행 점포가 줄어드는 것이다. 연간 179개 점포가 줄어들었던 2017년보다 더 많은 수치다.
시중은행의 영업지점 평균 근무인력이 10명 정도인 것을 감았했을 때, 대략 1970명의 임직원들이 부서 이동이나 인력 감축 대상자가 되는 등 대규모 구조조정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 저축은행 관계자, "규제 풀려도 점포수 늘리기 어려워“
시중은행은 비대면채널 강화 등에 따라 점포 수를 줄이고 있지만, 그간 점포 설치 규제를 받았던 저축은행은 반대로 자율성이 높아지게 됐다.
실제로 금융위원회는 지난 23일 인가제로 운영되던 저축은행의 지점 설치를 신고제로, 출장소·여신전문출장소 설치는 사후보고제로 전환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상호저축은행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금융위는 규제 완화와 관련, 고령층 및 소외지역 고객에 대한 접점 확대 등을 위한 것이라고 입법배경을 설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1금융권이 지점들을 많이 줄이자 금융당국에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지점 규제 완화 등으로 시중은행의 빈자리 메우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시중은행의 대면고객들을 저축은행 점포로 유입시킴에 따라 고용을 늘리고, 시중은행의 인력감축 등 구조조정 충격을 완화하고자 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 같은 금융당국의 조치가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업계에서도 비대면채널을 강화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점수를 줄이고 있는 추세”라며, “규제가 일부 완화됐다고 해서 지점을 많이 늘릴 것 같진 않다”고 밝혔다.
또 이번 규제 완화는 ‘업권규제’를 제외하고 이뤄졌기 때문에 저축은행이 점포 수를 늘릴 유인도 부족하다. 저축은행은 현재 영업을 하고 있는 지역 외에서는 영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미 영업거점이 있는 곳에 굳이 인건비 등 추가 비용을 들이면서 새로운 점포를 세울 이유가 없다.
시중은행 관계자 역시 ”1금융권 고객이 2금융권으로 많이 유입돼야 점포 증설, 인력 추가고용 등의 선순환이 이뤄질텐데 그렇게 효과가 클진 모르겠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은 시중은행에 비해 전산·인력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재투자가 어렵고, 자산관리 서비스 등 고객의 장기적인 니즈(needs)에 부응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