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6G 가속 전략’을 둘러싼 시기상조론이 틀린 3가지 이유
[뉴스투데이=한유진 기자] 삼성전자가 ‘6G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 백서’를 발표하자 업계 안팎에서 가벼운 논란이 일었다. 5G 시장도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6G기술로 이동한다는 게 피부에 와닿지 않는 흐름이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시기상조론도 제기됐다. 과연 그럴까?
실상은 다르다. 6G기술개발 경쟁은 4차산업혁명의 승패를 좌우할 승부처로 주목되고 있다. 2018년 미국과 핀란드를 시작으로 세계 각국이 6G 선점을 위한 연구에 이미 착수한 상황이다. 3G, 4G, 5G 등 급변하는 통신기술 산업에서 다른 나라를 제치고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다소 일러보여도 ‘선제적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다.
14일 발표된 삼성전자의 백서와 삼성전자 통합 연구조직인 삼성리서치 최성현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이 26일 삼성 뉴스룸에 올린 기고문 ‘지금 우리는 왜 6G를 준비해야 하는가’ 등을 종합해보면, 6G기술경쟁이 시급한 이유는 크게 3가지이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열정적으로 특정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하는 것은 이례적인 현상으로 꼽힌다.
■ 자율주행차, 증강현실 등 미래 산업에 6G는 ‘핵심 경쟁력’
6G는 초고주파 대역을 사용하는 5G 다음 단계의 기술이다. 아직 기술 개념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4차산업혁명의 꽃이라고 볼 수 있는 자율주행차, 무인드론,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등이 상용화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방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아 분석해내려면, 상상을 뛰어넘는 속도전이 필요하다.
기지국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자율주행차의 단말기에 전달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면 자율주행차는 가동될 수 없다. 수시로 대규모 교통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6G는 최대속도 1,000Gbps(초당 기가비트)이다. 이는 5G의 50배 속도이다. 무선지연은 100μsec(마이크로초, 0.0001초) 에 불과하다.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0.0001초만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5G에 비해 10분 1로 줄어든 시간이다.
따라서 6G가 상용화되면 영화 속 세계가 현실이 될 수 있다. 자율주행차, 홀로그램 통신, 의료용 로봇을 이용한 원격 수술, 하늘길을 달리는 드론 택시 등이 미래신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대규모 빅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산업이 본격화될 경우 6G 기술력 격차가 글로벌 시장에서 ICT기업의 간의 세력판도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6G기술개발은 아무리 빨라도 지나치지 않다”고 강조했다.
■ 미국을 필두로 한 주요 ‘선진국 간 경쟁’ 이미 가열
글로벌 트렌드도 ‘속도전’이다. 5G가 상용화되기도 전인 2018년 미국과 핀란드를 시작으로 주요 국가들은 6G 선점을 위한 연구에 이미 착수했다. 현재 6G 상용화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미국이다. 국방부 산하 연구기관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이미 2018년 7월부터 6G 연구개발에 착수, 지난해 3월에는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가 6G에 이용할 수 있는 테라헤르츠파(THz) 주파수 대역을 연구용으로 개방했다고 한다.
중국 역시 6G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지난해 11월 5G 상용화 이후, 국가 6G 기술 연구개발 추진 업무팀을 출범해 6G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중국공업정보화부는 올해 6G 개발에 착수해 2030년에 6G를 상용화하겠다는 구체적인 청사진까지 제시했다.
■ 6G기술 경쟁은 ‘장기전’, 5G도 10여년 전부터 연구개발을 해온 성과
6G기술의 완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도 현재 상용화된 5G 기술도 단기간에 나오지 않았다. 삼성리서치센터 최성현 센터장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5G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2012년부터 UN 산하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전파부문)에서 진행한 5G 국제 표준화 작업에 참여했다. 이를 위해 10여년 전부터 핵심기술 연구를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한다.
따라서 6G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10년보다 더 긴 연구개발 및 투자기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AI로봇, 증강현실 등 미래 산업의 상용화를 겨냥해 질주하고 있는 시점에서 5G시장 확대에만 전념한다면, ‘진검승부’를 포기하는 행위와 다름없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