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원 기자 입력 : 2020.05.25 16:55 ㅣ 수정 : 2020.05.25 16:55
"시근종태(始勤終怠)는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니 종근여시(終勤如始)하소서"
[뉴스투데이=김희철 칼럼니스트] 조선시대 임금3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던 한명회가 천수를 다하고 세상을 떠날 무렵에 임금이자 사위인 성종이 신하를 보내 내가 앞으로 왕을 하는데 무엇을 좌우명으로 삼아야 되느냐고 물었더니, 한명회는 "시근종태(始勤終怠)는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니 종근여시(終勤如始)하소서…"라고 답했다. 이는 “시작할때 부지런하고 끝에 태만해지는 것은 인간의 상정이니 마지막까지도 부지런하기를 시작처럼 하라”고 당부한 말이다.
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회자되는 “육군대장 위에 병장이다”라는 말처럼 병장으로 진급하면 무소불위(無所不爲)의 위치가 되고 군생활을 마칠 때이면 모든 것에 열외하여 전역 준비를 하는 혜택을 누리기 때문이다. 간혹 단기근무 간부들도 똑 같은 일이 벌어지곤 한다.
■
고락을 같이한 통신병 진희선(서울시 부시장)과 조진희(부산 영진어묵 사장)과 함께 한 추억의 여운(餘韻)
최근 육군 병사들의 복무기간은 21개월에서 단계적으로 18개월까지 단축되어 시행하고 있다. 필자의 중대장근무 당시에 임기는 약 30개월이었고 병사들도 30개월 복무하였다. 그래서 필자와 같이 중대로 전입한 병사들은 거의 같은 기간 동안 함께 같은 부대에서 근무를 하고 제대했다.
중대장 부임시 필자의 통신병(전령)은 처음에는 진희선 병장(현재 서울시 부시장)이었고 그다음에는 조진희 병장(현재 부산 영진어묵 사장)이 와서 중대장 보직 기간동안 생사고락을 함께했다.
진희선 병장은 중대장 부임초 중대 통신병으로 살을 에는 듯한 엄동설한 속에 시행된 작계시행훈련을 함께했다. 그때 대대장의 기습적인 심야 현장방문으로 침낭 속에 잠시 몸을 담았던 필자와 진병장은 급하게 옷을 추리며 일어났고 대대장은 한심한 듯 바라만 보았을 때의 난감했던 순간을 같이했던 전우이다.([김희철의 직업군인이야기(51)] ‘분노로 떨리는 손끝에서 떨어지는 낙담의 담뱃재’ 참조)
그 때 “9중대장, 인원 장비는 이상 없나..?”라고 질문하며 추위 속에 병력관리 잘하라고 당부하고 복귀했다. 하지만 대대장은 "지휘관은 마지막까지 부하들을 확인해야한다..."는 무언의 교훈을 주는 여운을 남기고 떠났다.
이미 각 소대진지를 모두 확인하고 필자의 위치로 복귀해 쉬는 중이었지만, 제대로 훈련상황 보고도 못 드렸고 이완된 모습을 보였기에 필자도 첫 훈련에 실망을 드린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되었다. 아찔한 순간이었고 통신병 진희선 병장은 “대대장님 화 나신 것은 아닌가요?”하며 걱정을 하였다.그 후 책임감이 강한 진병장은 최선을 다해 근무하다가 멋지게 제대를 했다.
그들은 중대 행정병 중에 나이도 많았고 고참이었던 박균명 병장을 주축으로 송두범, 허우행, 임재린 등과 함께 병사들 입장에서 중대장에게 조언도 잘했지만, 주야 불문하고 중요한 사안이 생기면 자기일처럼 모든 일을 잘 처리했다. 그래서인지 40년 가까이 된 아직도 그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끔 마련하고 있다.
그들과 같은 군인 덕분에 필자는 성공적으로 중대장직을 마칠 수가 있었다. 30개월 가까이 중대장직을 수행하면서 많은 병사 및 간부들이 부대를 떠났다. 그러나 유종지미(有終之美)를 잘 거두어야 하는데 간혹 제대를 앞두고 객기를 부리는 전역병들이 있어 그들을 달래거나 엄하게 다스려야 하는 순간도 있었다.
그래도 그들이 전출 또는 제대하기 전에는 꼭 중대장 관사에 불러 저녁과 함께 소줏잔을 나누면서 그동안의 노고를 위로했다. 물론 가족이 고생이 많았지만 보람도 있었다.
특히 중대통신병이 제대할 때에는 그동안의 정이 너무도 많이 쌓여 눈시울이 뜨거워지며 몹시도 아쉬웠다. 진희선은 전입 및 부대교대를 할 때 이주한 관사의 도배를 도맡아 해주었고, 조진희는 제대 전일 중대막사 뒤에서 서로 껴안고 눈물로 가슴을 적셨던 사연들이 여운(餘韻)을 남기며 주마등처럼 스쳐간다.
■
단기근무를 하는 학군(ROTC), 학사장교 등은 취업준비 보장이 절실
국방 의무를 다하는 것은 병사들 뿐만 아니라 간부들도 포함된다. 단기근무를 하는 학군단(ROTC), 학사장교 등도 마찬가지이다. 간부들은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고 제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얼마전에 군의관들이 제대를 앞두고 인근 병원에서 알바를 하여 문제된 것과 같이 취업 준비를 앞두고 무단 이탈을 하는 등의 행동으로 부대운용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국내 굴지의 대기업들은 군에서 리더십을 익힌 학군(ROTC), 학사장교 출신들을 선호한다. 인재 유치를 위해 전역전에 취업 박람회를 열어 인원을 선발하기도 한다. 군부대는 휴가증이나 출장증을 발부해 그들의 취업을 도와주나, 아무래도 최전방 군인들은 후방지역 보다 정보가 부족하고 취업시험에 응시할 기회를 많이 갖지 못한다.
그래서 매년 학군단(ROTC)장교들이 제대하는 4월이 되면 그들의 취업 준비를 보장해주기 위해 각 부대의 간부 인력이 부족한 현상이 벌어진다. 당장 당직근무 인원을 염출하기도 어려운 실정이 되었다.
그러던 중 상급부대에서 전역 간부 관리를 잘하라는 지시가 하달되었고 필자가 당직근무시에 마침 전역을 앞두고 일부 간부들이 무단으로 이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수소문 해보니 전역을 앞둔 장교들이 인접 마을로 빠져나가 회식을 한다고 해서 5분대기조를 출동시켰다.
얼마후 잡혀온 간부들에게 지시사항을 들었는지 확인하고 지시사항을 위반한 장교들에게 처음으로 체벌을 하였다. 이것을 문제시하면 오히려 더 큰 사건으로 확대되어 그들에게 피해가 될 수 있어 독단으로 처벌한 조치였다.
그들 중에는 필자 중대의 소대장도 포함되었고 얼마전 필자의 신혼집에까지 방문해 술 한잔까지 나누었던 후배장교들 이었지만 엄정한 군기강 확립을 위해 어쩔 수가 없었다.
훗날 필자가 소령으로 진급하여 서울 수방사에 근무할 때 그들을 다시 만날 수 있었는데 그들은 전역을 앞둔 당시에 자신들의 일탈을 눈감아 주지 못한 것에 대한 원망을 들어 미안한 마음에 저녁도 사주고 벌주로 과음도 했었다.
하지만 비록 장교 간부들이라도 마지막을 소홀히 한 것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었으며 당시 조치에 대해 후회는 없었고 오히려 추억이 되었다. 한명회가 "시근종태(始勤終怠)는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니 종근여시(終勤如始)하소서…"라고 성종에게 당부한 말이 새삼 귓가에 맴돌았다.
육군본부 정책실장(2011년 소장진급),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비서관(2013년 전역), 군인공제회 관리부문 부이사장(2014~‘17년), 현재 한국안보협업연구소장, 한국열린사이버대학 겸임교수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알에이치코리아,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