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철의 직업군인이야기](52) 전방오지 산짐승과 눈싸움 그리고 셋방살이 오강의 추억…
고등군사반(OAC) 과정 수료 후 이사도 못한 채, 한달 가까이 영내 근무
별빛에 반사된 산짐승의 눈빛 보다 사람의 인광이 더 강해
옛날 혼수였던 ‘오강’, 전방 오지에서는 필수 생활용품
[뉴스투데이=김희철 칼럼니스트]
유난히도 삭풍이 몰아치며 추웠던 1984년 겨울 날씨 속에 필자는 전임자 해임 덕분에 보병학교 고등군사반(OAC) 과정을 끝내고도 이사를 못한 채, 한달 가까이 퇴근도 못하고 급하게 취임한 중대장실에서 지냈다.
기혼자에게 관사는 제공되지만 비어있는 관사가 없어서 보다 못한 장모님이 최전방 오지 육단리 도로가 셋방을 구해 아내의 이사를 도와 주셨다. 물론 필자는 이사 당일 나가보지도 못했다. 그때 백운계곡을 지나 광덕산 카라멜고개를 넘어 사창리를 거쳐 실내고개와 수피령을 지나왔는데 이사짐 트럭 차장 밖으로 보이는 아슬아슬한 계곡에 가슴을 졸이며 펑펑 우셨다고 했다.
군인 가족의 애환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부대 임무에 빠져 가정을 소홀히 했음을 부인할 수는 없었다. 그러던 어느날 일과를 끝내고 자정이 다되어 퇴근하려고 하니 당직사령이 2시간 가까이 걷는 것이 안타까웠는지 퇴근차를 내주어 민간인통제초소까지 태워주었다.
민통초소에서도 육단리 셋방까지는 약 50분 정도를 걸어가야 했다. 태워준 운전병에게 조심해서 복귀하라 당부하고 밤길을 걷기 시작했다. 이미 자정이 넘어 인적은 끊어진 상태였다.
육단리 셋방은 전에 차가 다니는 도로에서 가게를 하던 집이라 문을 열면 차들이 다녔고 화장실(재래식 변소)을 갈려면 차도로 나와 주인집 대문을 열고 마당으로 들어가야했다.
아내가 그립고도 안타까운 마음에 발길을 재촉했다. 육단리에 갈려면 하오재길 두개의 고개를 넘어야 한다. 등 뒤에 보이던 민통초소 불빛이 사라지고 겨울 삭풍과 함께 칠흑같이 어두운 밤이었고 하늘의 별빛이 비포장도로를 희미하게 비추고 있었다.
첫번째 고개를 올라가는데 갑자기 고개 언덕에서 두줄기 라이트가 비추었다. “이 시간에 차들은 모두 끊어졌는데 무슨 차가 올까?’하며 계속 올라갔다. 순간 갑자기 서치라이트 불빛이 사라졌다.
50미터, 40미터 점점 최초 불빛 장소로 다가가는데 라이트는 없었다. 점점 긴장감에 휩싸이며 등에 식은 땀이 베었다. 그때 또 두줄기 라이트가 필자를 비추었다.
잠깐 멈출려는 순간 라이트가 움찔했다.
산짐승 이었다. 덩치로 보면 송아지 만했고 새까맣게 보이는 것이 사나운 맹수임에는 틀림없었고 도로 한복판에 비스듬이 앉아, 별빛보다 더 밝은 라이트를 내게 보내며 쏘아보고 있었다.
마침 내손에는 아무것도 없었다. 도로 옆에도 제설작업을 해서 깨끗하여 몽둥이로 쓸 수 있는 것도 없었다. 멈칫하다가 필자도 눈에 힘을 주었다. 산짐승과 눈싸움을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더 빠르지도 늦지도 않게 보속을 유지하며 그 산짐승 정면으로 성큼성큼 걸어갔다.
15미터, 10미터…… 두 눈에 더욱 힘을 주었다. 5미터즈음 다가가자 그 산짐승이 몸을 천천히 일으키며 도로 옆으로 내려갔다. 등에는 식은 땀이 흘러 내렸다. 산짐승이 있던 자리를 통과해 고개를 넘을 때까지 긴장을 늦을 수는 없었다. 뒤에서 발자국 소리가 들리는지 귀에 촉각을 세우고 두번째 고개를 넘자 육단리 마을 불빛이 보였다.
마을 불빛에 다리에 힘이 풀렸다. 한 겨울 모진 바람과 추위는 어디론가 도망가고 온몸은 땀에 흥건히 젖어 있었고, 눈에 얼마나 힘을 주었는지 아프기 까지 했다. ‘별빛에 반사된 산짐승의 눈빛 보다 사람의 인광이 더 세구나’하는 것을 깨달으며 차도와 붙어있는 셋방의 문을 두드리니 아내가 잠결에 나오며 반가워 했다.
방에 들어오자 머리맡 베게 옆에 가위가 놓여있었다. “이게 뭐야?”하고 묻자 웃으며 슬그머니 치웠다.
잠을 자는 셋방의 방문을 열면 바로 도로이기 때문에 만약을 위해 가위를 곁에 놓고 자고 있었다. “아무리 퇴근이 늦어 한시간을 자더라도 집에 꼭 들어와야 겠구나”하는 다짐을 하면서도 왠지 가슴이 뭉클하게 저리어 왔다.
다음주 절친이자 인접 중대장인 한황진 대위가 집들이를 오면서 고맙게도 ‘오강’을 사가지고 왔다. 아내는 창피한 것도 잊은 채 너무도 좋아했다. 전방 오지에서 ‘오강’은 필수 생활용품이라는 것을 뼈져리게 느끼는 순간이었다.
주요 저서 : 충북지역전사(우리문화사, 2000), 비겁한 평화는 없다(알에이치코리아, 2016)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